<편집자 주>
얼마 전 나온 신간 [머리에 피도 안 마른 것들이 인권을 넘보다] (2009, 청소년네트워크 활동가, 메이데이)라는 책은 여러 사람들이 읽었겠지만 인권침해의 현장에 있는 당사자인 청소년활동가들이 느끼는 건 남다를 것입니다. 이번 <책의 유혹>에서는 청소년 활동가가 읽은 청소년 인권이야기를 싣습니다.
하지만 청소년 활동가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읽고 청소년 인권을 알고, 느끼고, 실천할 때가 아닐까요. 혹시 당사자가 아니어서, 잘 몰라서 무심히 던진 청소년 인권침해가 담긴 말이나 생각들을 하지는 않았나요. 또는 침해현장을 무감하게 지나쳐가지는 않았나요. 인권 감수성은 키우는 만큼 느껴지는 게 아닐까요.
하지만 청소년 활동가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읽고 청소년 인권을 알고, 느끼고, 실천할 때가 아닐까요. 혹시 당사자가 아니어서, 잘 몰라서 무심히 던진 청소년 인권침해가 담긴 말이나 생각들을 하지는 않았나요. 또는 침해현장을 무감하게 지나쳐가지는 않았나요. 인권 감수성은 키우는 만큼 느껴지는 게 아닐까요.
인권침해를 받지만 몰랐던 권리들
청소년인권. 솔직히 인권이라는 개념자체를 교과서에서 나오는 그런 따분한 권리라고 생각했는데, 학교 다니면서 인권침해를 매일 매일 당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고 나서야깨닫게 되었다. 청소년과 인간이 가져야할 당연한 권리, 지금의 청소년들은 인간이 가져야할 당연한 권리를 갖지도 못한 채 학교라는 감옥 안에서 입시경쟁이라는 인권침해를 매일같이 당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물론 학교 밖에서도 수없이 많은 것들로 우리를 규제하지만 이때까지 학교 안에서 내가 당했던 인권침해는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이나 많았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면서 시험성적이 50점미만 틀린 문제 개수대로 허벅지를 때리셨던 선생님부터 시작하여, 선생님이 들어왔는데 자리에 앉아있지 않았다는 이유로 엉덩이를 때리고, 책과 학습지가 없다는 이유로 때리고 ‘때릴 이유’가 정말이지 많은 것 같다. ‘우리가 뭘 그렇게 잘못했는데 선생님이 때릴까? 잘못을 하면 맞아야 할까?’ 부터 시작해서 선생님과 갈등이 생기면 무조건 “죄송합니다.”라고 말하면 나중에 찾아오라는 식의 반응. 너무나 답답한 소통방식이 아닐 수 없다. 또 나도 모르게 친한 친구와 경쟁하게 된다는 것이 너무나 무섭다. 수행평가도 친구보다 더 잘 받기 위해서 노트도 안 빌려주고 혼자공부하고 연습하는 것이 너무나 일상적이다.
문제적 인간 청소년?
그리고 공감이 간 말은 ‘청소년문제’이다. 항상 우리보고 문제라고 한다. “어른들은 뭐만하면 너희가 문제야, 머리에 피도 안 마른 게!” 라는 식으로 우릴 인간 대 인간으로 보지 않고 자신들보다 아래 경험이 적은 아직은 미성숙한 존재로 보고 있는 것 같다. 우리도 생각 할 줄 알고 표현 할 줄 아는데, 어른들은 그것이 한없이 반항하고 대드는 것으로 보이는 것 같다.
그리고 청소년이란 나이 때는 위험한 시기라며 사랑하는 감정조차 어른들에게 제제당하기 십상이다. 이제는 하다하다 감정마저 제제당하고, 모두가 대학가면 다할 수 있다고 한다. 지금은 누릴 수 없고 어째서 대학을 가야 누릴 수 있는 것일까. 정말 모순이다.
19살과 20살의 차이. 또한 선거권부터 시작해서 담배나 술 청소년출입금지 장소까지 19세 미만이라는 숫자하나로 전국에 있는 청소년들을 제지 시킬 수 있다. 언제까지 이런 어리석은 규제 따위에 청소년들을 억압할 것인지, 작년 촛불집회 때처럼 친구를 죽이기 싫다며 광우병보다 무서운 경쟁을 깨닫고 나올 날이 머지않은 것 같다.
정부는 청소년들을 무서워한다. 그래서 더욱더 규제하고 사회적 규범 속에 철저하게 갇혀 살아가게 하는 것 같다. 잔인하기만 하다. 더 이상 책속에 나온 말처럼 청소년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생각하지 말고 청소년들을 이 사회의 주체로서 존중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어른들이 만들어낸 여러 가지 규제들로 우리의 권리를 침해하고 금지하는 현실을 바꿔야 한다. 더 이상 청소년들과 주위의 친구들을 그냥 죽음으로 내몰 수는 없다.
“참자”는 아냐!
난 책을 읽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책은 읽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만큼 공감가고 한번이라도 겪어보았던, 아님 나에겐 겪게 될 이야기이기 때문에 더욱더 열심히 읽었던 것 같다. “이제는 대학갈 때까지만 참자.” 가 아니라 직접 바꿔야 할 때이다. 우리가 바꾸지 않으면 그 누군가도 바꾸어주지 않는다. 나처럼 선생님에게 체벌을 당했거나 친구에게 왠지 모를 경쟁심을 느꼈다거나 할 때 꼭 읽어보아야 할 것이다. 바뀌어야 하는 것은 우리가 아니라 그들이다.
덧붙임
소영 님은 청소년활동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