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일반

영화로 만나는 인권축제, 미리 가본 인권영화제

11회 인권영화제, 18일부터 일주일 동안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봄을 예감하는 따스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인권영화제를 준비하는 활동가들은 한 번 더 깊은 심호흡을 한다. 영화제의 문을 슬슬 열어젖힐 때가 왔기 때문이다. 표현의 자유를 뿌리내리기 위해 첫발을 내딛고 인권의식의 확산을 위해 매년 변함없이 싹을 틔어온 인권영화제의 역사는 길다. 하지만 끊임없이 인권을 위한 영상을 발굴하며 끈질긴 생명력으로 이어져온 인권영화제는 봄을 닮아, 아직 젊다.

봄의 절정 5월, 18일에서 24일까지 1주일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리는 인권영화제. 꾸준한 호흡으로 달려온 12살의 인권영화제(하지만 올해 11회 인권영화제)가 올해는 어떤 모습으로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을까.

올해 인권영화제는 특정 주제를 잡았던 예년의 방식에서 살짝 벗어나, 인권이라는 그릇 안에 다양하게 담을 수 있는 26편의 작품을 선정했다. 국내작과 해외작 각각 13편은 이주노동자, 장애인, 성소수자와 자본의 독식에 맞선 세계 민중들의 투쟁 현장까지 폭넓은 주제를 아우르고 있다. 특히 올해는 영화 상영이라는 영화제 본연의 취지에 최대한 집중하고자 부대행사 대신, 소수자와 반전평화에 관련된 영화를 집중적으로 상영하는 날을 정했다. 영화제 3일째인 5월 20일은 ‘소수자의 날’, 마지막 날인 24일은 ‘반전평화의 날’로 정해, ‘소수자의 날’에는 소수자를 조명한 영화 <고스트> <동백아가씨> <우리학교> <레오 N이라는 사람> <사랑의 정치>를, ‘반전평화의 날’에는 평화를 향한 외침을 담은 <조각난 이라크> <내 사랑 블레인> <땅, 비, 불: 와하까 보고서> <전쟁 기지 필요 없다> <황새울 방송국 들소리>를 하루 종일 상영한다. 영화 상영뿐만 아니라 성전환자 운동이나 팔레스타인 평화운동, 그리고 평택 전쟁기지 반대운동 등 해당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들과의 시간도 마련되어 있다. 활동가들과의 대화를 통해 연대를 모색하고 고민을 공유하는 시간을 만들려는 취지로 기획된 이 날에는 알짜배기 영화들이 즐비하다.

‘소수자의 날’에 상영되는 작품들

영화 <고스트>

▲ 영화 <고스트>

소수자의 날에 초대되는 작품인 <고스트>는 개막작이기도 한 작품으로, 가난한 중국여성 이 영국으로 밀입국해서 각종 저임금 노동현장을 전전하다 영국 해안마을에서 밀물이 몰려오는 것도 모른 채 조개잡이를 하다 죽을 뻔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2004년 2월 영국 모캄베이 해변에서 23명의 중국이주노동자들이 사망한 실화를 드라마로 만든 것으로, 그 현장에서 천신만고 끝에 살아남은 이주노동자 에이 퀸이 직접 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연기했다. 오늘날 이주노동자들은 값싼 노동력을 팔기 위해 세계 곳곳을 유랑하며 불안정한 처지에 놓여있다. 멀리 영국까지 갈 필요도 없이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2월에 여수외국인‘보호소’에 불이 나서 감금이나 다름없이 갇혀 있던 외국인 노동자들 수십명이 숨진 사건이 있었다. 이렇게 열악한 상황을 감수하며 최소한의 인권조차 보장 받지 못하는 이주노동자들의 뼈아픈 현실을 <고스트>는 생생하게 재구성하고 있다.

영화 <사랑의 정치>

▲ 영화 <사랑의 정치>

<사랑의 정치>는 동성애자들이 사회적으로 배척당하지 않고 당당한 인간으로 인정받게 된 투쟁의 과정을 힘있게 그려낸 작품이다. 캐나다 퀘벡주에서는 2002년 동성애 부부를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시민결합권이 통과되었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양육권까지 보장받게 되었다. 동성애자들이 합법적인 부부로 인정받는 것도 어려운 현실에서 양육권까지 획득한 캐나다의 고무적인 사례는 동성애자들에 대한 편견과 왜곡이 여전한 우리 현실에 한 자락 희망을 보여줄 것이다. <레오 N이라는 사람>이라는 작품은 성전환자가 겪는 일상의 고통과 어려움을 카메라의 독특한 시선으로 보여준다.

영화 <우리학교>

▲ 영화 <우리학교>

많은 관객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우리학교>는 이미 다른 통로로 관객과 활발하게 만나고 있다. 민족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게 가장 큰 목표인 재일조선인들은 일본인으로 스며들어 살라는 요청을 거부했기 때문에 차별과 억압을 감내해야만 한다. 하지만 영화는 재일조선인 학교의 활기찬 모습을 담으면서 이들 재일조선인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그리고 있다. 에이즈 감염인이 현재 그렇듯이 한센병에 걸린 사람들은 ‘문둥이’라며 공포와 죄악을 천형처럼 짊어지고 살아온 사람들이었다. 제대로 치료만 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 병에 대해 국가가 저지른 범죄행위는 끔찍하다. <동백아가씨>는 평생 한센인이라는 낙인 때문에 잃어버렸던 인간다운 삶에 대한 회고를 한 할머니의 인생사를 통해 보여주는 작품이다.

‘반전평화의 날’ 상영작들

영화 <조각난 이라크>

▲ 영화 <조각난 이라크>

11회 인권영화제 또 하나의 기둥인 ‘반전평화의 날’에는 전쟁의 상흔을 입은 사람들과 전쟁 같은 삶에 맞서 싸우며 평화를 염원하는 사람들에 대한 영화들이 상영된다. 뉴스에서는 사라진지 오래지만 아직도 지구 반대편 이라크에서는 분쟁이 멈추지 않고 있다. <조각난 이라크>는 아버지를 잃은 11살의 소년가장, 중산층의 대학생, 터키 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힘겹게 살아가는 쿠르드 민족을 통해 전쟁이 남긴 것이 무엇인지를 전쟁 이후의 이라크를 통해 알려준다. 팔레스타인에서도 ‘전쟁’은 계속되고 있다. 팔레스타인 마을 블레인에 고립장벽이 설치되면 주민들은 땅의 절반을 빼앗기게 된다. <내 사랑 블레인>은 위기에 처한 주민들이 비폭력 직접행동으로 세계 각지에서 몰려온 활동가들과 함께 싸우는 연대의 시간을 담은 작품이다.

영화 <황새울 방송국 들소리>

▲ 영화 <황새울 방송국 들소리>

전쟁은 아닐지라도 전쟁 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최첨단 무기와 초호화판 시설의 미군기지를 짓기 위해 자기 땅에서 쫓겨나야 했던 대추리와 도두리의 주민들은 수 십년을 농사짓고 살아온 사람들이었다. 대추리에 들어가서 그곳 주민들과 함께 하면서 매일 들소리 방송을 만든 <황새울 방송국 들소리>를 통해 주민들의 아픔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수 십년을 미군기지 반대 운동을 하며 살아온 일본 오키나와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반기지 운동(해상시위, 해안집회, 기지찬반투표 등)을 통해 미군기지를 비판하는 <전쟁기지 필요 없다>와 2006년 멕시코의 와하까 지역 교사들이 주축이 되어 임금 인상과 교과서 무료 배급 등 공공성 실현을 요구하며 지역 자치 투쟁을 이끈 사례를 다룬 <땅, 비, 불: 와하까 보고서> 역시 빠뜨릴 수 없는 작품들이다.

무료상영 원칙과 장애인접근권에 대한 인권영화제의 생각

일년 내내 계속되는 각종 영화제의 홍수 속에서 인권영화제는 묵묵히 제 길을 걸어왔다. 무료상영 원칙과 장애인접근권을 위한 노력을 통해 인권영화제는 많은 영화제 속에서도 고유한 발자취를 남겨왔다. 누구나 돈에 구애받지 않고 인권을 접하고, 문화적인 권리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로 무료상영 원칙이라는 초심을 지켜왔던 것. 이는 문화조차 자본에 의해 배타적인 상품이 되어 가는 시대에 누구나 조건 없이 영화라는 방식으로 인권을 접할 수 있어야한다는 생각에 ‘소외된 이들’에게 문턱을 낮추고자 하는 시도이다. 무료상영의 원칙을 통해 노숙인들이, 기초생활수급권자들이, 가난한 청소년·노인들이, 빈곤으로 인해 인간답게 살 권리를 박탈당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인권/영화를 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장애인들도 인권과 인권영화를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애인접근권을 위한 조건을 갖추기 위해 나름대로 힘써왔다. 국내작품에도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자막을 제공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더빙한 작품도 상영하고 있다. 극장 곳곳에는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도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것만으로 장애인접근권을 실현했다고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 인권영화제 역시 장애인접근권을 생색내기로만 여기고 있지는 않은지 끊임없이 되돌아보고 있다. 아직은 많이 부족하지만, 이러한 시도가 더 큰 울림이 되어 전사회적으로 장애인들의 권리가 확보되는 데 인권영화제가 작은 힘을 보탤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매년 인권영화제의 내용은 달라지지만, 큰 틀은 변함이 없다. 올해도 역시 이런저런 노력들을 통해 관객 모두와 함께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문을 활짝 열어놓고 관객들이 풍부한 색깔로 인권영화제를 채워주기를 기대하며, 영화제는 오늘도 밤새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덧붙임

11회 인권영화제에 대해 좀더 알고 싶다면, http://sarangbang.jinbo.net/hrfilm 로 가서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