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인권시평> 작은 것들 죽이기

우리집 아이들은 내가 작아서인지 다들 키가 작다. 우리집에 오는 손님들 중에 간혹 중학생인 우리 큰딸이 초등학생인 줄로 아는 사람들도 있다. 아이는 얼굴이 벌개 가지고 저 키 작은 것을 괜히 죄스러워 한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고 아무리 말해봤자 요즘처럼 키 큰 아이들 많은 세상에서 저처럼 키 작은 사람이 겪는 설움을 저 말고 누가 알겠느냐고 딸은 하소연한다. 작은 것들 살아가기 힘든 세상이 어찌 사람뿐이랴. 농부들도 작은 채소들은 몽땅 골라내고 그렇잖아도 큰데 더 크라고 큰 채소들한테만 비료도 더 듬뿍 주고 사랑도 더 듬뿍 준다. 고층아파트단지 옆에 섬처럼 외로운 원주민들의 납작한 집들을 보면 왜 그렇게 가슴이 아린지.

작은 학교들을 몽땅 큰 학교에 합병시키거나 아예 폐교시키고 있는 실로 야만적인, 실로 폭력적인 작태가 지금 이나라 시골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내가 도시에 살다 시골에 이사를 오기로 결정한 여러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그곳에 ‘작은 학교’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작은 우리 아이가 다녔던 섬진강변의 그 작은 학교는 작년에 이미 폐교되었다. 원래 그 지역에 살았던 사람도, 새로 이사왔던 사람도, 이사를 오려고 맘먹었던 사람도 학교가 없어지자 그 지역을 하나둘 떠났고 떠나려 하고 있고 이사오려는 걸 포기했다. 이제 학교가 없어지니 그렇잖아도 젊은 사람이 귀하던 시골은 자연적으로 천연의 ‘실버타운’이 되어가고 있다. 어찌됐든 나도 학교가 없어지니 분하고 원통하지만 할 수없이 그곳을 떠나서 학교가 있는 이웃 면소재지 쪽으로 거처를 옮겼다. 섬진강변 그 작은 학교에 다니던 아이들의 부모들이 다 나처럼 그곳을 떠난 건 아니지만 어쨌든 ‘잠재적 유동인구’가 된 것만은 사실이다. 학교가 없어지니 모두들 아이들 교육을 위해서라도 좀더 큰 데로, 도시로 떠날 마음을 항시적으로 갖고 살고 있는데 어떻게 지금 살고 있는 그곳에 정이 붙을 수가 있을 것인가. 이제 농촌은 그야말로 그곳 아니면 그나마도 갈곳이 없는 사람들이 어찌할 수 없어 사는 ‘천형의 땅’이 되어버렸다. 아이가 없는 사람들만 살아야 되는 곳이 되어 버렸다. 1면 1학교 정책에 따라 면소재지에 있는, 남 보기에 그럴듯하게 새로 지어놓은 학교로 막상 전학을 하긴 했는데 그것이 또 얼마나 가관인지, 수영장 하나 새로 갖춰놓고 ‘농촌 현대화시범학교’란다. 우리집 초등학생인 둘째 아이는 오늘도 물이 없는 수영장 청소 당번이라서 여덟시에 가는 학교 일곱시 반까지 갔다. 수영은 한번도 못해보고 청소만 한다. 청소할 곳 하나만 더 생긴 꼴이다.

큰 학교 하나 어벌쩡하게 짓는 그 돈으로 작은 학교를 살려라. 마지막 남은 학생이 졸업하면 학생이 생길 때까지 폐교하지 말고 휴교하라. 휴교하는 동안의 비용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학교는 지역주민들이 교육부 당신들보다 훨씬 온전하게 지켜갈 것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