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칠레 FTA(아래 FTA)가 통과됐다. 국회는 찬성 162, 반대 71, 기권 1명이라는 압도적인 차이로 FTA 비준안을 가결시켜 4백 만 농민들의 생존을 위한 한 맺힌 절규를 끝내 외면했다.
비준안이 통과됐다는 소식에 지난 수개월 동안 온 힘을 다해 싸워 온 농민들의 눈에서는 허망하고 원통한 눈물이 흘렀다. 경찰은 이날도 7천여 명의 병력을 투입해 벼랑 끝에 서서 저항하는 농민들을 향해 물대포를 쐈다.
농민들에게 FTA가 몰고 올 농촌의 절망은 결코 낯설지 않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이영수 정책부장은 "농민들이 FTA 반대투쟁을 끈질기게 진행한 것은 지난 94년 우루과이라운드(아래 UR) 협상 이후 10년 동안의 경험으로 농업시장 개방이 농가를 어떻게 말살시킬 지를 너무나도 잘 알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값싼 수입 농산물은 지난 10년간 전체 농민의 60%를 농촌에서 몰아냈으며, 농가부채를 120%(연간 2-3천5백 만원)나 증가시켰다. 무엇보다 해마다 십여 건씩 보도되는 농민들의 자살이 그들이 처한 생존의 위기를 증명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FTA가 이러한 농촌의 몰락에 가속도를 붙게 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가난한 농민들이 이미 칠레 농업을 장악해버린 거대한 다국적 농기업들과 경쟁한다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 치기라는 것이다. 칠레는 포도, 자두, 키위 등의 수출에서 세계 1,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 과실들의 연평균 가격 수준은 우리의 5-25%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이 정책부장은 "FTA는 과실 농가들의 연쇄적인 파산은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특정 품목에 생산이 집중될 경우 과잉생산이 초래돼 농산물 가격이 폭락하고 이에 따라 농업 전반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FTA를 비롯한 농업시장 개방 정책이 예고하는 재앙은 농민들만을 표적으로 하지 않는다. 사회진보연대 류미경 정책부장은 "세계 농산물 유통량 80%를 5개 곡물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농업개방은 한 국가의 식량 생산과 공급을 오로지 돈벌이에 혈안이 된 몇 개 기업에게 맡기는 과정에 다름 아니"라고 지적한다. 다시 말해 시장개방 초기엔 싼값에 농산물을 살 수 있겠지만, 식량 자급율이 떨어질수록 식량에 대한 가격 통제력을 상실하게돼 소수의 초국적 농기업들의 이윤놀이에 식량이 필요에 따라 공급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류 정책부장은 "이러한 농업시장 개방의 위험성 때문에 WTO 도하개발의제 농업협상에서 미국, 유럽연합 등 농업대국들이 자국 농업을 보호하기 위한 수출 보조금 유지를 고집하고 있는 것"이라며 '농업개방이 대세'라는 정부의 주장을 비판했다.
FTA는 통과됐지만 농업개방에 맞선 농민들의 저항은 계속될 전망이다. 그들의 절망과 분노는 이제 시작이기 때문이다.
인권하루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