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끙

[끙] 구멍이 숭숭 난 사회복지

나는 성매매 상담소의 ‘상담원’으로 일하지만 내가 하는 일이 상담보다는 사회복지업무에 가깝다고 느낀다. 내담자들은 많은 경우 사회적 자원을 접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꼭 성매매와 관련 된 사안이 아니어도 상담소로 연락을 한다. 이렇게 호소하는 내용은 상상 이상으로 다양하다.

담이의 동생 이야기

“차라리 사고를 치지. 소년원 갈 만큼은 말고.”

담이가 자기 동생이 지원받을 만한 곳을 묻다가 내 대답이 탐탁지 않자 꺼낸 이 말이 뇌리에 남았다. 담이는 조건만남을 했던 십대로 보호관찰소 관찰도 받았고, 보호관찰소를 통해 십대지원단체와 우리를 만났다. 담이랑 평소처럼 이야기를 나누는데 담이는 동생이 걱정된다며 동생 이야기를 꺼내왔다. 담이 동생은 중학생인데 학교가 가기 싫다며 나가지 않아 퇴학을 당했다고 한다. 동생에 대한 여러 걱정을 이야기하던 담이는 ‘동생이 학교도 학원도 다 싫다고 한다, 친구 사이도 안 좋은 것 같다, 밖에 나가지를 않는다, 말도 잘 안 한다, 무슨 일을 벌일지도 모른다.’며 검정고시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아니면 다른 기관을 소개받을 수 있는지 물어왔다. 담이는 자신과 동생의 탈학교를 아빠의 폭력 때문으로 이해하고 있다. 자신은 ‘사고를 쳤지만’ 탈학교 뒤 검정고시를 보고 여러 기관의 지원으로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학교도 다니건만, 동생은 그조차도 안 되는 상황을 답답해하는 모습이었다.

현행 사회복지체계에서 정작 필요한 것을 가로막는데 큰 걸림돌로 존재하는 부양의무제, 반빈곤운동 진영에서는 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해 광화문에서 농성을 2년 넘게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를 바라면서 진행한 분홍배 캠페인.

▲ 현행 사회복지체계에서 정작 필요한 것을 가로막는데 큰 걸림돌로 존재하는 부양의무제, 반빈곤운동 진영에서는 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해 광화문에서 농성을 2년 넘게 이어가고 있다. 사진은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를 바라면서 진행한 분홍배 캠페인.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을수록 나도 담이의 동생을 걱정하는 마음이 생겼다. 소개할 만한 곳이 있을지 머리를 굴려보았으나 마땅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다. 담이의 동생에게는 보호자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같이 사는 아빠가 있다.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기 싫다는 이유로 학원도, 학교도 가기 싫어 현재 탈학교한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담이의 동생이 왜 학교가 가기 싫었는지, 지금은 어떤 생각과 욕구를 갖고 있는지를 알 방법이 없다. 결국 난감한 표정으로 담이 동생과 만나보지 않은 채 어디를 소개해주기는 힘들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그랬더니 담이가 하는 말. “차라리 사고를 치지. 소년원 갈 만큼은 말고...” 담이야 그건 좀... 이라고 말하다가도 나도 답답하여 그저 같이 허허 웃고 말았다.

로카의 친구 이야기

며칠 뒤 또다른 내담자 로카로부터 연락이 왔다. 로카는 장애가 있는 성판매경험자로 자신이 지원받을 수 있는 사회적인 체계가 있다는 것을 잘 안다. 로카가 다급한 목소리로 묻는다.

“쌤, 저 쉼터에 가고 싶은데요, 저 말구 혹시 남자 쉼터도 있어요?”

웬 남성 쉼터지 싶어서 질문을 해보니 로카의 친구와 후배가 갈 곳이 없고 일을 할 만한 여건이 안 돼서 같이 PC방에 있다는 것이었다. 이름을 들어보니 예전에 나도 로카와 함께 만난 적이 있는 사람이다. 당시에 가족 구성원에게 구박을 받다가 맞기도 한다는 말을 들었었고 대화나 행동의 속도가 빠르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꼭 좀 알아봐달라는 로카의 목소리가 간절하기도 했거니와 직접 보기도 했던 친구이기에 이곳저곳 수소문을 해보았다. 그러나 20대 초반의 비장애인 남성이 숙식을 지원받을 수 있는 쉼터는 노숙인 쉼터밖에 찾을 수가 없었다. 일단 로카에게 노숙인 쉼터 연락처를 알려주는데 뭔가 딱 맞아 떨어지는 기분이 아니었다.

담이 동생과 로카 친구에게 연달아 그이들에게 필요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나니 무기력하고 씁쓸한 느낌만 남았다.

떠오르는 기억

이런 느낌이 익숙할 때도 됐는데 영 마음이 편하지 않다. 그리고 괜히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없었던 예전 일들이 생각난다. 민서 할머니는 70대로 고령의 성판매경험자였다. 노환으로 거동이 힘들어 방 안에만 있는 할머니가 생활비라도 받았으면 싶어서 기초생활비수급자 신청도 시도해보고 차상위계층 등록도 시도해보고 마지막으로 건강보험공단의 요양보호지원도 알아봤지만 모두 다 실패했다. 할머니에게 같이 사는 자식이 있고 정신이 말짱하다는 것이 실패의 요인이었다. 그 같이 사는 자식은 할머니의 쌈짓돈만 가져가고 집에서 잠만 잘 뿐 전혀 부양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제도의 고려대상이 아니었다. 할머니는 실사 조사를 한답시고 낯선 사람들을 집에 들였는데도 아무것도 안 됐다는 결과를 들으신 뒤에는 우리의 방문을 불편해하셨다. 결과적으로 적절한 지원과 기관을 제대로 연결하지 못했다. 자식들이 계속 호적상 올라 있고 사리분별이 명확한 한 이상 할머니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적 지원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할머니를 만난 지 일 년이 훌쩍 지났건만 다시 떠올려도 이 씁쓸한 기분은 어쩔 수가 없다.

이렇게 사회복지 비슷한 업무를 매번 반복하면서도 항상 사회복지가 어렵다. 많은 사람들이 이미 말했듯 체계가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지원을 받아 마땅한 사람임을 증명해야 한다는 사회복지체계의 한계가 변하지 않는 한 사회복지업무는 계속해서 어려울 것이다. 다만 십대인 담이와 담이의 동생, 이십대 초반인 로카와 친구들, 민서 할머니가 자신의 삶을 수혜자의 위치에 끼어 맞추지 않으면서도 자신 원하는 대로 살아갈 수 있으려면 ‘복지’라는 단어에 갇히지 않고 그 너머를 그려 봐야 할 것 같다는 짐작만 해본다.
덧붙임

유나 님은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활동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