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느닷없이 그런 과거의 짧은 기억을 떠올리게 된 건, 카일과 마찬가지로 이라크에 파병됐다가 부대 복귀를 거부하고 캐나다로 탈출해 5년 넘게 밴쿠버의 어느 좁은 교회 안에서 지내고 있는 미 육군 특기병 출신의 로드니 왓슨이란 병사의 기구한 사연을 접하게 된 때문이었다. 미국 남부 캔자스에서 자란 왓슨은 원래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자동차 선적을 검사하는 꽤 괜찮은 일자리를 얻어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하던 젊은이였다. 그러다 회사 사정으로 갑자기 해고된 뒤 저임금 아르바이트 자리를 전전하는 신세가 됐고, 점점 겁이 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러다 주위의 다른 흑인 친구들처럼 자기도 마약이나 범죄의 유혹에 빠져드는 게 아닐까 하고 말이다. 그래서 그가 선택한 대안은 군에 입대하는 것이었다. 3년간 군에서 받은 월급을 착실하게 모으면 작은 식당이라도 내서 가족을 부양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에서였다. 게다가 원래부터 이라크 전쟁을 지지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소속 부대가 이라크로 파병될 때도 별다른 양심의 거리낌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가 직접 가서 목격한 이라크와 미군의 실상은 그의 예상과 전혀 달랐다. 주특기가 취사병이었음에도 전투병으로 배치된 그는 이라크 주민들을 ‘사막의 깜둥이’라고 경멸하는 주위 동료들의 모습에 큰 충격을 받았다. 단지 흑인이라는 이유로 수시로 차를 세우게 한 뒤 머리에 총을 겨눈 채 자신에게 ‘깜둥이’이라고 욕설을 내뱉던 캔자스의 백인 경찰들과 똑같은 짓을 하는 사람들의 무리 속으로 자신이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헬멧과 방탄조끼에 성경 문구를 가득 적은 채 부대 밖으로 나가서 이라크 사람들에게 총질을 해대는 걸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행위라 믿는 부대원들도 한둘이 아니었다.
그러던 2006년 2월의 어느 날, 티크리트 북쪽의 부대 앞에서 경비를 서던 왓슨은 미군 응급 차량 한 대가 배에 총상을 입은 11살짜리 이라크 소년을 정문 앞에 내려놓는 걸 목격하게 된다. 현장에서 소년의 몸을 수색하고 심문한 미군들은 아무런 무기나 폭탄도 발견되지 않고 반군 첩자도 아니란 사실이 확인되자, 그를 모래 바닥에 내팽개친 채 그냥 부대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그래서 급히 지휘소에 무전으로 의무병을 보내달라고 요청한 왓슨에게 되돌아온 대답은 아무 조치도 하지 말고 초소를 지키라는 것이었다. 그렇게 왓슨은 고통으로 울부짖는 소년이 모래 위에서 서서히 죽어가는 모습을 바로 위에서 고스란히 지켜봐야만 했다.
그리고 몇 달 뒤, 왓슨의 부대는 일 년의 파병 기간을 채우고 미국으로 복귀했다. 그와 더불어 전역을 불과 몇 달 남겨둔 왓슨은 제대 이후의 삶을 설계하며 이라크에서의 기억을 지우려 애를 썼다. 그러나 신규 입대 병력이 모자라 전전긍긍하던 미국 정부는 모든 현역 군인들의 복무 기간을 무기한 연장할 수 있는 ‘손실 방지(Stop-loss)' 정책을 도입하고 왓슨에게도 일 년 간 다시 이라크에서 복무할 것을 명령했다. 그러자 왓슨은 심한 갈등에 휩싸였다. ‘절대 이라크로 돌아갈 수는 없어.’ ‘하지만 명령을 거부하면 내 인생 전부가 물거품이 될 텐데?’ 결국 왓슨의 최종 선택은 복귀 예정일에 부모님께 ‘곧 전화할게요’란 한마디를 남긴 채 캐나다행 버스에 몸을 싣는 것이었다.
오늘날 미국과 국경을 맞댄 캐나다에는 양심을 이유로 이라크전 참전을 거부한 뒤 그 나라에 정치적 망명을 신청했던 60여 명 가운데 아직 강제 송환되지 않은 스무 명 남짓의 ‘왓슨들’이 여기저기에 흩어져서 각자의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다. 그 외에 망명을 신청하지 않고 숨어서 지내는 미군들까지 합치면 그 수는 모두 2백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그들에 대한 미국과 캐나다 정부의 입장은 단호하다. 애초부터 자원해서 군에 입대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은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자가 아니라 군법을 어긴 탈영병이며 범죄자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왓슨을 비롯한 미군 ‘전쟁 저항자들(war resisters)’의 목소리에 한번이라도 진심으로 귀 기울인다면, 과연 그들을 그렇게 범죄자로 치부해버릴 수만은 없을 것이다.
“군에 입대했을 때, 나는 조국을 위해 봉사한다는 걸 영광으로 여겼습니다. 대다수 미국 국민들이 그랬듯이 나 역시도 정부의 거짓말에 속아 넘어간 거죠. 그러나 군에 입대했다고 해서 도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포기했다는 뜻은 아닙니다. 난 이라크 전쟁이 잘못이란 걸 깨달았고, 싸우기를 거부하는 것만이 유일한 선택이라 여겼습니다.”(로빈 롱, 2005년 부대 이탈, 2008년 강제 송환)
“아직도 내 손에는 피가 묻어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 군인을 붙잡고 ‘제발 그만해’라고 하지 못했기 때문이죠. 위에다 보고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내 마음과 몸과 영혼이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 벌어졌을 때, 나는 ‘노’라고 이야기했어야 했는데 말이죠.”(로드니 왓슨)
앞서 언급했듯이, 왓슨은 현재 한 목사의 도움으로 밴쿠버의 어느 교회 안 이층 단칸방에서 부인이랑 아들과 함께 만 5년이 넘는 긴 시간을 사실상 갇힌 채 지내오고 있다. 앞으로 언제 그 곳을 벗어날 수 있을지도 기약조차 없다. 밖에서는 교회 문을 나서는 순간 그를 체포해가기 위해 캐나다 이민국 관리들이 24시간 동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한다. 십여 년 전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 거리 곳곳에서 울려 퍼지던 전쟁 반대의 외침이 거의 잦아든 오늘, 여전히 부당한 침략전쟁에 맞서 저항하고 있는 ‘왓슨들’이 있음을 우리는 절대 잊어서는 안 되겠다.
덧붙임
최재훈 님은 '경계를 넘어' 회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