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노동자의 이름을 빼앗지 말라"

노동절에 울려 퍼진 특수고용노동자들의 절규


113주년 세계노동절을 맞은 1일, 서울 거리를 가득 메운 3만여 노동자들의 끝이 보이지 않는 행진 대열 속에는 노동자이면서도 노동자임을 인정받지 못하는 특수고용노동자들이 있었다.

특히 '지입 차주'라는 허울 아래 노동자의 이름을 빼앗긴 화물운송노동자들은 무려 7천여 명이 참가해 그들의 절박한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날 이들 노동자의 가슴에는 검은색 리본이 무겁게 매달려 있었다. 지난 27일 운송업체와 알선업체의 중간착취, 폭등하는 기름값으로 빚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운송하역노조 포항지부 노조원 고 박성준 씨(34)를 추모하기 위해서다.

광양에서 올라온 한철희 씨는 "박성준 씨 소식을 듣고는 가슴이 찢어졌다"며 "그를 죽음으로 내몬 빚은 이 땅 화물노동자 모두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한 씨는 "1억에 달하는 차 한 대를 빚을 내 구입하고 나면 하루 15시간씩 일해도 그 차 수명이 다할 때까지도 빚을 다 갚지 못해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평균 5천여 만원의 빚을 짊어지고 있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90년대 중반 화물운송업체들이 노동자들에게 차량을 강제로 불하시키는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하루아침에 노동자라는 이름 대신 지입차주가 된 화물노동자들은 "운임료에서 차량 할부금, 기름값, 차량 유지비용, 도로비를 빼고도 한 달에 25만원의 지입료와 100여 만원에 달하는 알선 수수료를 떼고 나면 돌아오는 것은 생활고와 빚 뿐"이라고 토로한다. 더구나 운송업체에 등록된 차들은 그 회사의 재산이 되어, 회사가 도산할 경우 노동자들은 그대로 차를 빼앗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노동절에 울려 퍼진 이들 화물노동자들의 함성은 이러한 전근대적인 노예노동에 맞선 처절한 절규였다.


모성 보호는커녕 일방해고까지

빼앗긴 노동자의 이름을 돌려달라는 목소리는 또 다른 특수고용노동자인 학습지 교사들에게서도 터져 나왔다.

구몬학습지 교사로 일하다 얼마전 일방적으로 해고당한 이은옥 씨의 사례는 학습지 교사 노동자들에게 붙여진 '개인사업주'라는 꼬리표가 얼마나 기만적인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행진대열 속에서 만난 이 씨에 따르면, 사측은 출산 후 백일만에 복직한 이 씨에게 일방적으로 근무지역을 배정했다. 이씨가 "출산 후라 그 지역을 모두 담당하기는 무리"라며 "지역을 반으로 줄여달라"고 요구하자, 사측은 "교사가 지역배정에 대해 어떻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냐"면서 "일하든지 그만두든지 양자택일하라"고 강요했다. 이를 거부한 이씨는 결국 해고됐다.

이은옥 씨는 "고용뿐 아니라 모성마저도 위협하는 이러한 사측의 횡포는 학습지 교사들이 노무관리를 철저히 받고 있는 노동자라는 사실을 반증한다"며, "법적으로 떳떳하게 노동자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본의 더 많은 이윤보장을 위해 노동자이면서도 노동자의 이름을 빼앗긴 특수고용노동자들, 113주년 세계노동절 행진대열 속에서 만난 그들은 "스스로 노동자라고 생각한다"고 한 목소리로 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