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고 장현구 군 아버지 장남수 씨>

"올 추석엔 아들 묘까지 돌봐야 해"

경원대 학원민주화투쟁의 정신적 버팀목이던 장현구(경원대생, 분신사망). 장례가 끝난지도 다섯달이 넘었고, 이제 그 이름 석자를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듯 싶다. 아들의 죽음 앞에 누구보다도 분노했던 아버지 장남수(54) 씨도 어느덧 생업의 현장으로 되돌아 와 있다. 무려 1백34일, 넉달이 넘도록 아들의 시신을 땅에 묻지 못하면서 너무나도 힘든 고통의 시간을 보냈기에 아들을 보낸 장 씨의 사무침은 유달리 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장남수 씨는 몇 번이고 되뇌인다. "잊을 건 잊어야 돼"하면서.


"건전한 95% 때문에 우리사회가 유지돼"

장남수 씨는 30년이 넘게 화원을 해 오고 있다. 가락동에서만도 벌써 10년째 예닐곱평 남짓한 자그마한 꽃집을 운영하고 있는 장 씨에겐 욕심이 없다. "다 사리사욕만 차린다면 사회가 지탱되기 힘들지. 건전한 95% 때문에 우리 사회가 유지되는 게야" 장남수 씨의 소망은 뒤에서 열심히 성원하는 것이란다. "힘과 길만 있다면 적극적으로 성원하고 싶소"

장 씨는 지난 몇 달 간의 어려움 속에서 힘이 되어 주었던 사람들을 잊지 않는다. 특히 아들의 죽음 이후 장례가 끝날 때까지 음양으로 도왔던 김해성 목사에 대한 감사는 남다르다. 김 목사가 외국인노동자 문제로 구속돼 재판을 받을 땐 꼬박꼬박 법정을 찾아다녔고, 지금은 한 달에 한 번씩 김 목사의 교회에 나간다. 신자가 아니라면서도 장 씨는 "김 목사의 설교를 듣기 위해 예배에도 참석하게 됐다"며 허허 웃는다.


연세대 사태 때는 학생들 걱정에 신촌 배회

지금도 장 씨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경원대학교의 앞날이다. 아들의 장례식 이후에도 경원대 문제가 여전히 어둔 터널을 빠져나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1학기 내내 팽팽하게 전개돼 오던 학교측과의 줄다리기는 연세대 사태 이후 학생들에게 불리한 상황으로 바뀌었고, 간간이 제기되던 협상테이블도 치워진지 오래. 오히려 학교측의 재고발 조치로 인해 방학중에만 4명이 구속되었고, 10명이 수배생활에 들어갔다.

장 씨는 "비록 타협하는 방법을 모르지만 아직도 학생들의 주장이 옳다고 믿는다"며 안타까워한다. 가끔씩 찾아오는 아들의 후배들에게도 격려와 충고를 아끼지 않는다. 장 씨는 지난달 연세대 사태 때, 자식 같은 학생들이 공권력에 당하는 것을 보고 있을 수만은 없어 연세대 앞을 배회하고 다녔다고 한다.


아들 유언 따라 "해야할 일은 할 것"

"유족단체를 찾아가 보라" 죽기 직전 아들 현구가 남긴 마지막 말이었단다. 장 씨는 여건이 되고 옳다는 판단만 선다면 모임에 동참해 "해야할 일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올해 장남수 씨의 추석은 예년보다 바쁘다. 선산에 모신 조상 묘도 살펴야 하고, 마석 모란공원에 잠들어 있는 아들 현구의 묘소까지 돌봐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