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활동가들의 교류와 소통, 인권운동의 현황 공유 및 활동평가, 그리고 인권운동 연대의 전망 모색을 위해 '전국인권활동가대회'가 처음으로 열렸다. 11월 30일부터 이틀 동안 열린 이번 대회에서는 앰네스티 한국지부, 국제민주연대 등 전국 30여개 인권단체 소속 활동가 1백30여 명이 참여했다.
먼저 '한국 인권운동 10년의 평가와 과제 - 연대활동을 중심으로' 전체토론에서 93년 세계인권대회 준비 민간단체 공대위에서부터, 94년 한국인권단체협의회, 96년 과거청산국민위원회, 98년 국가보안법 철폐 범국민대책위와 국가보안법 반대 국민연대, 그리고 지난해까지 활동했던 국가인권기구 공대위 및 '국가인권위 바로 세우자! 인권단체연대회의' 등이 개괄적으로 소개됐다. 하지만 향후 과제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이어지지 못한 채 전체토론은 마무리됐다.
이후 인권활동가들은 3∼4개 소모임으로 나뉘어 8개 소주제 토론을 총 3시간에 걸쳐 진행했다. '인권교육의 방향'을 위한 토론은 '영감 떠올리기'식 회의를 하면서 공동자료실 운영 등 실천적인 결론을 이끌어냈다. '국가인권위 대응 전략'을 위한 토론에서 국가인권위의 폐쇄성, 관료성, 소극성 등 문제점엔 공감하면서도, 대응 전략과 관련해서는 사안별 대응을 잘 하자는 주장에서부터 별도의 논의 틀이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다양한 편차를 보였다.
또 '운동사회의 가부장성 문제' 토론마당에서는 운동사회에서 미처 보지 못했던 가부장성 문제가 신랄하게 지적됐고, 그 밖에 '과거청산의 국제인권 기준과 인권운동', '수사기관 인권침해에 대한 대응', '사회권 운동의 이해', '사형폐지를 위한 인권단체 연대', '인권으로서의 외국인 노동자 문제' 등의 소주제 토론이 있었다.
이번 대회에 대해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이주영 상근자는 "같은 인권 분야에서 활동하면서도 모르는 단체가 많았는데 각 단체들이 어떤 활동들을 하는지 알 수 있어 좋았다"고 평했다. 인권실천시민연대 오창익 사무국장은 "거의 모든 인권단체가 최초로 모여 인권운동의 진로와 여러 문제에 대해 지혜를 모으고 밤늦은 시간까지 진지한 토론을 한 것은 굉장한 의미가 있다"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물론 비판적인 목소리도 존재했다. 끼리끼리 박통 간사는 "인권운동 안에서도 여성운동에 대한 이야기가 안 되는 분위기가 실망스럽다"며, 여성단체연합 등의 연대활동이 인권운동 연대의 내용에 포함되지 못한 점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한편, 이번 활동가대회 때 발표된 내용들은 이후 한데 묶여 자료집으로 만들어질 계획이다.
인권하루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