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인권이야기

[윤미의 인권이야기] 비정규직 당사자로 살아간다는 것

2007년 가을이었다. ‘비정규직보호법’이 통과되고 100일 후, 관련 평가 토론회가 있던 날. 대학생이던 나는 그 곳에 취재를 갔었다. 한창 사회문제에 눈과 귀를 밝히던 때였다. 사회 각계 사람들이 많이 왔고, 노동자들도 왔다. 도리어 비정규직만 양산하는 이 법안을 폐기하라는 내용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있었다.

결국 토론회는 시작되지 못 했다. 이상수 노동부장관이 단상에 나서 ‘노사정이 비정규직보호법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있었다’는 말을 하자마자 당시 이랜드, 뉴코아, 코스콤, 기륭전자 조합원들이 앞으로 쫓아 나갔기 때문이다. 장관은 도망갔고 조합원은 전경에 연행되면서 그렇게 끝이 났다.

관찰자에서 당사자로

노동유연화란 명목으로 양산될 비정규직들. 그 비정규직이란, 정당한 대우는 못 받고 일만 더 죽어라 해야 하는 노동자였다. 당사자들의 어려움을 들을 생각도 않고 점점 더 안 좋은 방향으로 굴리는 정부에 화가 났다. 그 이후로 참 많은 집회에서 ‘비정규직 철폐, 투쟁, 결사, 투쟁’ 이란 구호를 외쳤다. 하지만 사실, 실감하는 건 아니었던 것 같다. (물론 사회정치참여의 중요한 동력이 ‘실감’할 수 있고 아니고가 될 순 없다고 생각한다.) 어쨌거나 내 일이 아니었고, 앞으로 내 일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도 않았으니까.

“그러니까 그때 그 법 생기고 나서부터 방송국에 비정규직이 엄청 많이 생겼다니까.” 같은 회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언니와의 우연한 대화였다. “정말요?” “응. 나 처음에 일할 때만 해도 이 정도는 아니었어.”

묘한 실감이 났다. “아, 진짜 그렇게 되긴 되는구나.” 정말 말 그대로 진짜 그렇게 되긴 되는구나, 하는 생각. 짧은 순간 뭔가 나를 훅 치고 가는 느낌이었다. 당시 현장에서 이 법이 갖고 올 나쁜 영향에 대해 걱정이 되고 화도 났지만 그래도 이걸 끝까지 막아야 한다는 확신이나 절실함이 있진 않았다. 요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대하는 내 태도도 마찬가지다. 막아야 한다는 당위는 있지만 내가 머리로 아는 것만큼의 절실함이 없다. 그래서 곧잘 잊고 만다. 어쨌든 이 대화 때문에 4년 전 그 날의 현장을 떠올렸고, 그때 내가 막연히 비판했던 것의 실체가 무엇인지 알 것 같았다. 그리고 지금 나는, 비정규직이다. 2년 계약으로 일 하는 파견직.

[그림: 윤필]

▲ [그림: 윤필]


회사 엘리베이터를 타려다 주위 곳곳에 붙은 플래카드를 봤다. ‘노동에 대한 합당한 임금 보상, 정당한 대우, 복지’ 등 강한 요구가 적힌 글귀들이 적혀 있었다. 하지만 어디에도 비정규직, 나 같은 파견직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의 부당함에 관한 얘기는 없었다. 아, 이런 기분이구나. 좀 씁쓸했다. 그렇다고 못 해먹겠다 싶을 정도로 속이 상하는 건 아니었다. 어쨌거나 내가 선택한 길이고 이 일이 어느 정도의 내 장래와, 거의 전부인 먹고 살 길이라고 생각하면 불만 때문에 멈칫거려서도 또 그럴 여유도 없다는 생각이 앞선다.

이건 결국, 젊은 사람들의 꿈을 빌미로 값싸게 노동력을 쓰고 버리는 게 습관이 된 대부분의 직장이라는 곳의 현실이기도 하다. 그 어디보다 내가 일 하는 곳, 방송국이 수많은 비정규직들을 쉽게 쓰며 굴러 간다는 사실이 실망스럽다.

당사자로 살아간다는 것

그럼 당사자인 나는? 어차피 2년 일 하고 떠난다고 생각하면, 불평등하고 비상식적인 노동 환경을 바꾸는 데에 에너지를 쓴다는 것이 얼마나 어마한 분노가 있어야 가능할까 가늠해 보게 된다. 이걸 놓쳐서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돈을 벌기도 어렵다.

무엇보다 이런 기분이다. 내가 당사자가 되고 보니 자꾸 내 위치를 확인하면서 타인의 눈에, 불안정한 직장 또 별 대우가 좋지 않은 노동자, 라는 딱지를 받고 싶지 않은 마음. 그래서 역으로 계급의식을 갖기란 얼마나 힘든 것인가를 실감, 한다. 열심히 구호를 외치며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고 분노했던 내가, 당사자가 되면서 균열이 일어나는 지점들.

노동자로 살면서, 이것도 감지덕지야 라고 생각하는 내가 실망스럽다. 노력으로 충분히 변화가 가능한 공간에서 노동하기에, 그래서 내가 지금 ‘열심히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는 해결이 안 되는 답답함이 있다. 그래서 새로운 위치에서 새삼 이런 고민을 한다.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의 원동력은 뭘까. 당사자가 되고 보니 분노하며 구호를 외칠 때보다는 이 고민이 백 배 더 어렵다. 그렇다고 어쩔 수 없지 뭐, 하고 말 내 모습은 가장 상상하기 싫다.

덧붙임

윤미 님은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