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좋아해요?
다른 "책언니" 쩡열이 전해준 얘기가 있다. 주변 사람들이 그렇게 물어보더라고 했다. 너는 애들이 정말 좋냐고, "책언니" 활동 하는 게 정말 좋냐고, 그런 반신반의하는 물음들을 받았다고. ‘"책언니" 활동이 대체 무슨 의미냐’ 이런 의심의 눈초리라면 모를까, ‘그렇게 사는 게 좋냐’ 는 물음은 또 의외였다. 하긴 다들 애 키우면서 사는 게 아닌 이상, 어린 사람들 만날 일이 평소에 뭐 얼마나 있을라고. 명절 날 조카들에게 용돈 주는 게 전부인 삼촌이모 뻘의 어른들이라면 심정적으로 이해가 안 갈 수도 있겠다 싶었다. 지금은 "책언니" 엠건으로서의 삶이 워낙 익숙해져서 ‘애들이 좋다, 싫다’의 차원을 떠나 이제는 ‘애들에게 이래저래 동화된 몸’을 갖게 되었지만, 원래는 앞서 말했다시피 애들을 싫어하는 사람이었고 "책언니" 수업 초반 그만큼 거리감을 많이 느꼈기에 스스로를 설득하고, 이 활동을 납득하는 과정이 내게도 필요했다. 여덟 살 친구들을 만나는 게 ‘일’ 이 되었다는 것은 어린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강력한 동기였고, 이 관심을 장착하고 살게 되었을 때 달리보이는 것들이 꽤 많았다. 사실 그건 새로운 시선을 갖게 된 것이라기보다는 기존에 ‘놓치고 있던 것들의 발견’ 에 가까웠다. 내가 처음으로 우리가 왜 어린 사람들을 만나야하는지에 대해서 실감한 건 내 주변의 가장 가까운 어린 사람이었던 막내 동생 때문이었다.
하찮은 왕
부모님 댁에서 따로 나와서 산 지 몇 년 됐다. 한두 달에 한번씩 부모님 댁에 가서 주말을 보내곤 한다. 가끔 집에서 마주하는 지아(가명)는 이 집의 ‘꼬마 왕’ 같았다. 지아는 편식도 심하고 고집이 세서 엄마를 고생스럽게 하기도 하고, 언니들한테도 이거 해 달라 저거 해달라 귀찮게 굴 때가 많았다. 그래도 워낙 늦둥이고, 나이차가 많이 나는 막내였던지라 온 가족이 오냐오냐, 하자는 대로 해줄 때가 많았다. 게다가 하는 짓도 귀여웠다. 지아는 저녁밥상을 치우고, 과일 먹는 자리에서 꼭 한번씩 온 가족의 시선을 끌었다. 유치원에서 배운 노래를 부르고, 율동을 하고, 그럴 때면 온 가족이 관중이 되어 박수를 치고, 애가 끼가 많다고, 이러다 커서 가수 되는 거 아니냐고 설레발을 쳤다. 그럴 때면 이 작은 아이가 온 가족의 떠받듦을 받는 왕처럼 보였다. 그러나 반짝이는 관심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지아는 혼자 남았다.
티비 보는 아빠에게 말을 걸면 딴 데 가서 놀라는 대답이 돌아왔고, 설거지 하는 엄마에게 다가가 말을 걸면 일이 바쁜 엄마가 저리 좀 가라고 짜증을 냈다. 언니들은 각자 컴퓨터하고 핸드폰 들여다보는 데 정신이 팔려 상대를 해주지 않았다. 거실로 돌아온 지아는 혼자 우두커니 앉아 알아듣지도 못할 말을 떠들어대는 티비를 쳐다봤다. 이 장면이 사진처럼 찰칵, 하고 뇌리에 찍혀 지금도 기억 한 편에 저장되어 있다. 막내를 참 예뻐하는 우리 가족들이 동시에 이 애한테 참 무관심하기도 하다는 걸 말해주는 장면 같았다. 한번은 둘째가 이런 얘기를 해준 적도 있었다. 지아가 주절주절 걸어오는 말을 무심코 씹고 있었는데, 이 어린애가 ‘제발 내 말 좀 들어 달라’ 고 말하는 걸 듣고 놀라서 돌아봤다고. 일상적으로 자연스럽게 무시할 수 있는 사람, 좀 불쌍하긴 해도 내가 피곤하고 바쁠 때 밀어내도 되는 쉬운 존재가 지아였다. 귀찮으니 저리 가라는 손짓 한 번에 밀려나는 무력한 위치가 여섯 살 지아의 자리였다. 세상에 이렇게 하찮고, 힘없는 왕이 또 있을까.
사람 만나는 일이 다 그러하듯이
나를 포함한 지아의 언니들은 지아를 같이 대화 나눌 수 있는 상대로 생각하지 않았다. 일방적으로 지아의 얘기를 언니들이 배려심 있게 들어주는 거라 여겼다. 그래서 착하게 받아줄 맘이 안 들면 지아에게 ‘저리 가’라고 했다. 사실 어린 지아가 맥락 없이 떠드는 얘기 같은 건 당장 눈앞의 예능 프로그램을 보는 일 보다도 중요하지 않으니까. 아무리 말을 걸어도, 돌아봐주지 않는 어른들 옆에서 아이들이 안고 사는 뿌리 깊은 외로움이 있을 거라 생각했다.
이 사회에서 ‘아동’이라는 집단의 존재감은 턱 없이 얄팍하고 가볍다. 보통의 어른들은 아이들을 만나는 데 있어서 귀엽다고 머리 쓰다듬어주고 지나치는 정도의 가벼운 관심, 형식적인 수준의 ‘아이 대접’ 이상을 고민하지 않는다. ‘교육’이라는 명목 아래에서 아이들을 사회화시키고, 어른으로 길러내는 철저하게 대상화된 방식에만 골몰할 뿐이다. 이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여덟 살도 나름의 삶의 무게를 가진 사람이란 걸 알아주는 이는 많지 않다. 수업에서 만난 여덟 살들이 가끔 던지는 한 마디 속에서 작은 몸이 품고 있는 슬픔과 고단함을 느낄 때가 있었다. 엄마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서 ‘죽고 싶은 적이 있었다. 고 말하던 한 여자아이, ‘사람들이 다 싫다. 난 좋아하는 사람보다 싫은 사람이 더 많다’고 말하던 예진이. 미처 알아보지 못 했던 그 애들의 아픈 속을 마주칠 때마다 해줄 수 있는 건 말없이 안아주는 일 밖에 없었다.
이 사회는 사람을 있는 그대로 만날 수 없게 만드는 것 같다. 어린 사람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들에 대해 역사적으로 형성된 관념(순수함, 연약함 등등)이나 단편적이고 관습적인 이미지가 장벽이 되어 그 애들을 ‘사람’으로 보는 일을 방해한다. 누굴 만나든 나이보다 중요한 건 저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뭘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등등 그 사람과 친해지기 위해 알아가야 할 할 더 깊은 이야기들 아닐까.
"책언니"도 결국엔 사람 만나는 일이다. 애들이 가진 외로움에 공명할 수 있는 마음의 자리가 생겼고, 그것이 내가 "책언니" 활동을 소중하게 여기는 이유가 됐다. 알고 지내고, 좋아하는 꼬마 애들이 한 명, 두 명 더 늘어갈 때마다 이 사람들이 조금 덜 외롭게, 행복하게 지냈으면 좋겠다는 마음도 늘어간다. 실은 애들 옆에 있다 보니 나부터가 조금 덜 외로워졌고, 더 행복해졌다. 나를 잘 안아주고, 사랑한다고 온 몸으로 말해주는 사람들 곁에 있다 보니 그렇게 됐다. 지금도 수업 가는 데서 만나는 애들을 생각하면 피식피식 웃음이 난다. 한 살 더 먹었다고 눈에 띄게 자란 우리 꼬맹이들처럼 앞으로도 애들이랑 같이 쑥쑥 성장하는 "책언니"가 되었으면 좋겠다.
덧붙임
엠건 님은 '교육공동체 나다' 활동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