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인권으로 기억하는 4.16

[인권으로 기억하는 4.16] 참사 이전과 같을 수는 없을지라도 모두가 함께 책임져야 하는 참사 이후의 삶과 일상

피해자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부터

[편집인 주]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겠다는 약속은 참사 당일에 벌어진 일을 복기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4.16연대는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을 추진하며 인권으로 4.16을 기억해보자고 제안한다. 기억은 행동이다. 세월호 참사 이전과 달라져야 한다는 열망은, 무엇이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 끊임없이 질문하는 행동이 되어야 한다. <인권오름>과 <프레시안>에 매주 공동 게재되는 연재기사가 하나의 실마리가 되기를 바란다.

“세월호 유가족들한테 인권이 있나요?”

다시 옷깃을 여미는 계절이다. 올해 초, 광화문 세월호 농성장에서 미수습자 가족 한 분과 두어 시간 인터뷰를 진행했다. 두툼한 패딩 점퍼에 화장기 없는 얼굴, 쉰 목소리로 두 시간 내내 말하던 모습이 선명한데, 그는 여전히 ‘미수습자’ 유가족으로 하루하루를 견디고 있다. 우리는 준비해 간 질문들로 이야기를 나누었다. 피해자로서 필요한 심리 지원이 있냐고 묻자 “누가 나를 치료할 수 있을까요? 현재 진행형인데”라고 했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는 어떠냐고 묻자 오래 알고 지낸 사람들은 아이가 생각나서 만나지 못하고, 일반 사람들은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찾아와도 만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다 대뜸 “지금 인권 실태조사 한다고 하시잖아요. 근데 세월호 유가족들한테 인권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정말 궁금해서 물어요”라고 역으로 질문했다. 권리가 아무것도 보장되지 못하고 있으니 실태조사부터 하는 거라고 답은 했지만, 할 말이 없어지는 질문이었다. 그런데 지금 다시 그 질문을 들으면 할 말이 있을까. 실태조사도 했고, 결과도 발표했고, 참사는 500일이 넘게 지났는데, 현실은 그때와 달라진 것 없어서 여전히 말문이 막히는 질문이다.

참사 피해자가 일상으로 돌아갈 권리

출처: 신주욱 작가

▲ 출처: 신주욱 작가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 인권선언’ 풀뿌리토론에서도 피해자의 권리에 대한 고민들이 모이고 있다. 우선 세월호 참사 이후 가장 아니라고 생각했던 게 무엇인가란 질문에 ‘피해자다움’, ‘유가족다움’을 강요하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과 사회 분위기를 말하는 사람이 많았다. 단식농성을 하던 유민 아빠 김영오 씨가 금속노조 조합원이라는 게 밝혀졌을 때, 이혼 가정이라는 것이 밝혀졌을 때 정부와 언론은 이를 앞세워 여론몰이를 해댔다. 유가족이 술 마시고 폭행 사건에 연루된 것에 대해서도 비슷한 대응이었다. 사람들 마음속에 있는 유가족은 슬프고 나약한 사람들이어야 했다. 그런데 금속노조 조합원이라니 원래 전문 데모꾼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슬퍼하고 침통해 하고 있어야 할 유가족이 술이나 마시고 있다니 잘 살고 있나보네 하는 생각이었다. 무의식중에 자리 잡은 이런 생각들이 ‘유가족다움’과 ‘피해자다움’을 구성하고 있었을 테고, 이를 벗어나는 모습들에 우리 사회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던 것이다. 물론 이 알레르기 반응을 극대화하고 편할 대로 활용한 건 정부였지만, 정부가 파고든 ‘틈’이 있었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때문에 참사 이후 다른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권리를 이야기하는 과정에서도 피해자의 권리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다. 피해자가 자신의 모습 그대로 살아갈 수 있는 권리, 피해자가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권리, 피해자가 존중받을 수 있는 권리 등 함께 나눈 이야기들 속에는 피해자들의 권리가 아무것도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드러났다.

참사 피해자들이 참사의 진실을 알 권리, 필요한 배보상을 지원받을 권리, 충분히 슬퍼하고 애도할 권리는 너무도 기본적이고 당연한 권리들이다. (하지만 이 당연한 권리들조차 전혀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세월호 참사의 현 주소다.) 이들만큼 중요한 권리가 참사 피해자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권리다. 물론 참사 이후의 삶은 결코 이전과 같을 수는 없다. 그러나 세월호에서 살아나온 사람들, 가족을 떠나보내고 살아가야 할 사람들은 참사 이후에도 ‘살아가야’ 한다. 그 삶이 참사 이전과 같을 수는 없을지라도 또다시 공동체에서, 사회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다. 세월호 참사의 현주소와 무관하게 피해자들은 이미 일상으로 복귀했으며, 하고 있다. 다시 일터에 나가 일을 하고 있고, 학교를 다니고 있다. 그리고 그 일상이 어떻게 구성되게 할 것인지는 우리 사회 모두의 책임이다. 하지만 지금은 참사 이후의 일상이 오롯이 개개인들에게 맡겨져 있고, 그들은 일상 속에서 하루하루를 견뎌내고 있다. 세월호에서 조리사로 일했던 한 생존자는 “새로운 곳에 가도 ‘거기 있었던 사람’, ‘살아나온 사람’으로 먼저 인식이 되어버리니까”라며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또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의 친척이나 가족들이 배보상 문제를 얘기하며 ‘TV에선 얼마 줬다는데 다 받았냐’, ‘교사였으니 더 받았냐’, ‘보험금은 얼마냐’ 등을 묻고 따지는 것 또한 피해자들에게 큰 고통이 되고 있다.

이렇게 참사 피해자들이 오롯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건 앞선 대형 참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생존자든 희생자 유가족이든 참사의 무거움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마주치는 주변의 시선으로 힘들어야 했다. 참사가 사회적으로 해결되지 않다 보니 ‘그곳에서 살아남은 사람’ 혹은 ‘그 참사로 가족을 잃은 사람’이라는 사실은 배려나 존중이 아닌 다름과 차별적 시선으로 이어졌다. 때문에 참사 이후 자신이 살던 공동체를 등지고 이사하거나 거주지를 옮긴 뒤 본인이 참사 피해자라는 것을 아무도 모르는 곳에 살았던 사람들도 있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참사의 피해자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것

참사의 피해자라고 해서 특별하게 대해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들이 일상으로 복귀한다고 해도 참사로 인한 아픔은 계속 간직하고 있을 수밖에 없고, 그들은 이전과 똑같은 삶을 살아갈 수는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 사회는 그들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참사 피해자가 언제든 슬픔을 표현할 수도 있고, 기쁠 때는 같이 웃을 수도 있고, 언제든 어려움을 말할 수도 있는 것 말이다. 또한 참사의 해결을 위해 어떤 투쟁과 도움이 필요하다고 손 내미는 것도.

그동안 세월호 피해자들과 쌓아온 연대만큼 앞으로의 삶과 일상이 구성되는 것도 우리 사회의 연대가 절실히 필요한 일이다. 참사 피해자들이 ‘피해자’라는 낙인을 갖고 사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존중받으며 우리 사회 속에서 일상을 살아갈 수 있도록, 관심과 연대는 계속되어야 한다.
덧붙임

나위 님은 노동자계급정당추진위에서 활동하며 4.16 인권선언 추진단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