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활동 이야기

기후위기인권모임 “노발대발”을 마치며

인권운동사랑방의 자원활동가 모임 ‘노발대발’의 활동을 종료했습니다. 2021년 4월에는 첫 모임을, 2023년 2월 마지막 모임을 가졌으니 2년간 활동을 하고 마무리된 셈이네요.

노발대발은 재난참사피해자의 권리에 대한 담론을 만들고 고민했던 ‘노란리본인권모임’을 2020년에 마무리한 뒤 만든 모임이었습니다. 노란리본인권모임의 노란 발자국이 큰 변화를 이끄는 대발이 되어보자, 그리고 지금의 기후위기를 불러일으킨 자본과 국가에 노발대발 분노한다는 중의적 의미를 담아 노발대발이라는 이름이 탄생했지요. 그렇게 사랑방의 기후정의운동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발전시켜나갈 통로이자 공간으로 노발대발은 출발했습니다.

모임을 시작할 초기, 기후위기 시대 특정한 요구로 보이는 싸움의 보편적인 내러티브로 구성하는 사업을 기획하고 그 과정에서 몇 권의 책을 읽으며 꾸준히 토론하는 세미나를 가졌어요. 예컨대 조효제 선생의 『탄소 사회의 종말』이나 나오미클라인의 『미래가 불타고 있다』, 구준모의 『기후위기에 맞선 새로운 사회운동』, 사회공공연구원에서 낸 『기후위기 시대 공공부문 노동운동의 전략』, 그리고 기후정의포럼 자료집과 같은 것들이었죠. 이 시간 속에서 추상적인 기치에 머물던 기후정의 담론을 조금씩 구체적으로 이해해가며 지금의 위기가 자본주의 체제 속 우리가 겪고 있는 숱한 삶의 위기와 같은 맥락 위에 있다는 점을 확인했던 거 같습니다. 자연히 정부와 자본이 펼치는 기후위기대응의 실체를 비판적으로 보는 관점도 벼릴 수 있었고요. 동시에 사랑방이 책임감 있게 참여했던 ‘탄소중립위원회 해체와 기후정의 실현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탄중위해체공대위)’ 활동에 1인 시위와 집회에 접속하며 우리가 기후정의 주체라는 감각을 차츰 쌓을 수 있었지요.
노발대발을 시작한 시기는 다른 한편으로 사랑방이 기후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시기이기도 합니다. 탄중위해체공대위 발족부터 그 이듬해 ‘기후정의동맹’ 건설에 이르기까지 사랑방은 기후정의운동의 새로운 흐름의 물꼬를 트고, 운동의 주체와 투쟁을 조직하며 변혁적인 담론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했답니다. 빠르게 흘러가는 기후운동의 정세는 사랑방이 차분히 숨을 고르며 독자적으로 심화해야 할 고민과 문제의식을 벼리기 어렵게 하는 조건이었던 거 같기도 합니다. 그 결과 모임의 목적의식이나 욕구도 다소 불분명해지면서 한동안 모임의 운영도 느슨해졌던 거 같습니다. 노발대발은 기후위기에 관심있는 자원활동가에게는 물론 모임을 담당했던 상임활동가의 관점과 시야를 넓히고 기후정의운동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현재 사랑방이 자신의 독자적인 고민과 욕구를 구축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모임의 참여 동기나 관심을 제고하며 조직해나가기 어렵다고 판단하게 되었답니다.

기후정의동맹 출범 3년 차를 맞이하는 올해, 사랑방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기후정의동맹의 활동에 많은 역량과 에너지를 집중할 거 같습니다. 당장 4월 14일 예정되어있는 ‘414기후정의파업’과 9월의 대규모 집회를 조직하고, 거기에 기후정의선언운동과 에너지체제전환 투쟁에까지 힘을 쏟으며 보다 공세적으로 기후운동의 조직화 경로를 건설하고 투쟁을 대중적으로 펼쳐나가고자 합니다. 그러나 기후정의운동에 관한 사랑방의 독자적인 고민을 벼려나가야 한다는 과제는 여전합니다. 이를 기억하며 기후정의운동의 자장 안에서 변혁적인 인권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랑방의 구체적인 고민들을 계속 숙성시켜나가고자 합니다. 이제 노발대발은 마무리되지만, 노발대발 아래 모였던 자원활동가들이 지속적으로 기후정의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접촉면을 확장해나가겠습니다.

그럼 모두 건강히. 다시 만날 때까지 안녕히.


336_이야기_노발대발.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