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활동가의 편지

살 이전에 잘 먹기

오랜만에 활동가의 편지를 씁니다. 글을 꾸준히 쓰게 되는 사랑방 활동가로서 그나마 적은 부담으로 쓸 수 있는 이 글이 무척이나 반갑네요. 팔구월은 여러모로 정신없는 시간이었습니다. 밀도 높았던 일정으로 뭉친 긴장감을 한차례 풀어야겠다 싶어, 10월 20일부터 일주일 가량 대만에서 안식주를 보냈습니다. 따뜻한 날씨, 무성한 나무, 채식 지향인으로서 먹을 수 있는 음식과 갈 수 있는 식당이 많다는 점이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잘 먹고, 꼼꼼히 씻고, 푹 자는 휴가다운 휴가였습니다.

절 직접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꽤 마른 편입니다. 지난 팔구월에는 직접적으로든 건너 건너든 살 좀 쪄야겠다는 걱정, ‘많이 먹으라’는 조언을 종종 듣게 되었습니다. 확실히 최근 들어 평소 체중보다 3kg 정도 적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워낙 살이 잘 안 찌는 체질이기도 하지만, 해야할 일이 있을 때 식곤증이 몰려오는 게 싫은 예민함 때문에 넘치게 먹기보단 차라리 아쉽게 먹기를 여럿 하는 걸 선호하고, 거기에 몇 년 걸쳐 복용 중인 약의 식욕 저하 부작용까지 겹친 탓이 클 텝니다. 다크써클과 함께 무표정이 기본값인 제 얼굴도 그에 한몫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첫째로는 말라 보이니까 살을 찌우라는 게 무슨 상관인지를 생각했습니다. 근육이 적어 맥아리가 없어보인단 건지, 본인의 미적 기준에서 '보기 좋은' 수준이 아니라 별로인 건지. 어쨌거나 결론은 대부분 '그건 님의 생각이고…'하며 무시하거나 ‘살찌우는 게, 많이 먹는 게 모두에게 쉬운 일인 줄 아냐’는 억한 마음이었습니다. 솔직히 살찌우는 것보단 살 빼는 압박에 더 익숙한 이들이 많을 것 같고, 살찌우기가 어렵다 하면 재수 없게만 생각하는 이들이 있을테니 외롭기도 했습니다.

그런 제가 신기하게도 대만에서 한껏 위를 불려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약간의 밀당(?)을 반복하며 체중도 조금씩 느는 추세입니다. 어쩌면 진정으로 필요했던 건, 살을 찌우고 넉넉히 먹는 일이 제게 어려웠던 이유를 명확히 짚어보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래요. 저라고 제 건강을 염려하는 이들에게 막연한 서운함을, 그도 아니면 제 노력이 부족했다 탓하며 죄책감 느끼고 싶겠어요. 나는 괜찮다거나 내게 어렵단 이유로 미뤄왔던, 제대로 된 원인과 해결 방법을 파헤쳐보자고 결심하게 됐습니다.

 

'많이‘ 먹기, 그 이전에 '먹기'

‘많이 먹기’라는 언뜻 단순해 보이는 과제엔 사실 선행 과제가 숨겨져 있었습니다. ‘많이’ 먹기가 되려면, 그 이전에 ‘먹기’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먹기’는 무수히 많은 자잘한 조건들을 하나하나 채우며 달성됩니다. 맘 편히 또 든든히 먹을 수 있는 음식, 소외되지 않는 분위기, 안전한 관계, 넉넉한 시간과 그에 필요한 경제적 비용 등.

제가 대만에서 배부르고 풍족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던 이유는 여기에 있을텝니다. 그렇습니다. 결국엔 앞서 말했듯, 채식지향인이 '식이소수자'로서 먹기를 존중받냐 마냐의 문제일 텝니다. 채식 전문식당이라 표기된 곳을 수월히 찾고, 부실한 풀떼기들이 아니라 다양한 식감과 맛으로 조리된 영양가 높은 식사를 부담되지 않는 비용을 내고 달성할 수 있던 대만에서 먹기는 물론 많이 먹기 또한 어렵지 않았습니다. 자연스럽게 그 일주일은 여태껏 제가 많이 먹기 힘들었던 식이소수자로의 여건, 채식이 그 자체로 도전이었던 대한민국에서의 날들을 돌이켜보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학교 주변에 먹을 수 있는 채식 메뉴라곤 샐러드와 떡볶이, 비빔밥 뿐이었던 2018년 즈음. 해야 할 과제는 많고 도시락을 싸고 다니긴 위험했던 여름 어느 날, 샐러드를 두 번 연속 먹었다 심한 복통으로 병원에 달려갔던 웃픈 일화가 떠올랐습니다. 녹색 채소만 주구장창 먹은 제가 자처한 일이라던 의사쌤은 약과 함께 샐러드 금지령을 내렸고, 떡볶이와 비빔밥, 편의점과 굶기를 전전하다 학교와 과제 대신 스스로 가진 ‘먹기’의 기준을 조금씩 포기했죠.

치커리의 쓴맛이 싫다던 제게 “채식하신다면서 풀을 안 좋아하신다고요?”라며 누군가 장난 섞인 질문을 했을 때, 채식한다면서 풀을 가려먹는 제가 이상한 게 아니라 애당초 채식하는 이가 풀 말고 뭘 먹을 수 있을지 가늠되지 않는 당시 여건의 한계를 떠올렸더라면. 단체식사로 예약된 메뉴 중 하나가 일괄로 고기 없이 나오자 고기가 든 음식을 원했던 옆테이블 누군가가 일행에게 “채식하면 빨리 죽지 않냐”며 우스갯소리를 할 때, 악의 없이 내뱉어진 말에 붙들리기보다 그 말의 뿌리가 어떠한 배제적인 식문화에 있음을 떠올리며, 조금은 가볍게 넘어갈 수 있었더라면. 그랬다면 좋았겠지만 그러지 못했던 시간 동안, 대한민국에서의 먹기는 그에 딸려있는 수많은 조건 중 무엇을 포기할 것인지를 가늠하는 ‘도전’이었습니다.

 

먹기, 그리고 ‘잘’ 먹기

N개의 기후정의학교 중 건강정의 회차에서, 개인의 건강은 개인의 노력으로만 만들고 완성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살을 빼거나 찌우는 목표, 그를 위한 식단 조절과 운동이라는 과제. 그 둘 사이에 따져야 할 많은 것들이 쉬이 생략되는 데에는, 무엇 하나 내 맘대로 통제되지 않는 세상에서 그나마 건강만큼은 개인의 노력/투자를 배신하지 않는다는 굳은 믿음이 영향을 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노오오력’이 개인의 노력만으론 극복할 수 없는 수많은 사회적 조건을 감추는 위험에서, 건강이라고 자유로울 순 없겠지요.

그래도 이런 마음 깊숙한 곳에 있는 원인을 규명함과 동시에 스스로를 돌보는 노력의 중요성도 되짚어 보고 있습니다. 마음 편히 먹기 어려운 조건을 떠올리기 싫어 ‘먹기’를 소중히 하지 않았던 지난 시간은 ‘건강’에 소홀해진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또 저는 매일 보기에 그 변화를 알아채기 힘들었던 제 신체에도 더욱 무감했던 시간이었구요.

살 좀 쪄야겠다는 주변 걱정에 욱해서 몇 년 치 먼지가 쌓인 체중계에 오른 결과, 언제부터 줄었는지 모를 체중에 저도 좀 심각해졌습니다. 걱정할만했군… 하며 그 잔소리가 진실이긴 했다며 머쓱해했죠. 그래서 부랴부랴 식물성 단백질 쉐이크를 구비했습니다. 코코아 맛이라 기대했건만 맛 없는 이 쉐이크는 제게 새로운 도전이 되었네요. 몸에 좋은 약은 쓴 것이겠죠? 또 얼마 전에 비만 또는 허약 체질 청년에게 PT 비용을 국가에서 일부 지원해 주겠단 소식을 어디선가 봤던 기억이 납니다. 허구헌 날 청년 찾는 대한민국에서 그놈의 청년 뽕 뽑으러 운동도 시작해볼까 합니다.

제가 대만으로 떠나있는 일주일 동안, 대한민국에 이렇다 할 큰 변화가 있진 않았습니다. 당연하겠죠. 모든 변화는 지긋지긋한 노력 끝에 아주 조금씩 오니까요. 그래도 채식을 시작한 이후로 4~5년의 시간 동안, 대한민국은 느리지만 조금씩 채식하기 편해진 여건이 조성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러니 대한민국에서 단 한 번도 많이 먹는 날이 없다거나, 즐거움을 느낀 적이 없다는 건 거짓이겠죠.

물론 제가 운이 좋은 부분도 있습니다. 특히나 제게 일터라 할 수 있는 사랑방에선 점심 식사를 직접 만들어 먹는 편이기에, 채식 메뉴가 있는 식당을 찾아 정처 없이 떠돌다가 모종의 ‘민폐되는 감각’이 싫어 스스로 내려놓는 상황을 마주할 가능성이 매우 적기도 하니까요. 먹기가 도전으로 느껴지는 날이 점차 적어지며 제게는 먹기의 조건들을 포기하기보단 조율하고, 넓혀나가는 마음의 여유가 생기고 있습니다.

대만에서 맛 봤던 먹기의 즐거움을 계기로, 살 찌라는 애정 어린 잔소리들을 동력 삼아, 살을 잘 찌워보겠단 다짐을 이어가려고 합니다. 정확하게는, 초점을 ‘살 찌우기‘에서 ’먹기‘로, 그 다음으로는 ‘잘 먹기‘로 나아가보고자 합니다. 다양한 도전들로 앞으로의 시간이 채워지리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