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인권시평> '타인의 시선'에 의한 포착


교수가 강의 시간에 늦었다. 시내버스 기사와 시비가 붙는 바람에 늦었다고 해명을 했다. 정류장에서 미처 내리기도 전에 버스가 출발을 했고, 교수가 이를 항의하면서 싸움이 벌어진 것이다. 기사는 '왜 문 앞에 미리 나와 있지 않았느냐' 소리를 높였고, 이 교수는 '차가 완전히 서고 자리에서 일어 나는 게 당연한 거 아니냐'고 말을 받은 것이다. 여전히 분이 안 풀린 듯 씩씩대며 교수가 한 마디 덧붙였다. 이건 우리의 존엄성을 지키는 싸움이라고. 프랑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나는 내릴 정류장이 가까워 오면 바짝 긴장하고, 한 정류장 전쯤에는 문 앞에 나가 대기하고, 차가 서면 신속하게 내린다. 가끔 늑장부리다 기사에게 한 소리 듣는 사람을 보면 얄미운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니 이 교수의 말이 조금은 불편하게 들렸던 것이 사실이다.

'작은 일'에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는 거 아닌가, 사태를 너무 단순하게 보는 거 아닌가 하면서 속으로 공연히 어깃장을 놓기도 했다. 무엇보다 '프랑스' 운운한 것이 거슬렸다.

며칠 전, 신문에서 한 페미니스트의 칼럼을 읽다 문득 그 때 일을 떠올렸다. 그 칼럼은 386 의원들과 한 환경운동가의 행태를 '여성이 빠진 진보'의 당연한 결과라고 했다. 그 칼럼의 한 대목. "남성들에게는 은밀한 일상이었을 이 일련의 사건들은 '여성의 눈'에 의해 인지되고 알려지게 된 것이다."

남성들의 성문화에서는 너무나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것들, 그래서 이념적으로는 진보적인 사람들도, 생명의 소중함을 누구보다 강하게 외치는 사람도 남성이기 때문에 보고 느낄 수 없는 '어떤 것'은 오로지 여성이라는 '타인의 시선'에 의해서만 포착된다는 것이다.

'프랑스'라는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나는 '서구' 혹은 '문화제국주의'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권의 선진국'이라는 것이다. 아마 그 교수와 나는 서로 다른 쪽 의미를 사용했을 것이다. 프랑스 유학을 한 교수의 용법과 한때 제국주의에 대한 적개심을 불태웠던 나의 용법이 달랐던 것은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즉자적인 감정을 다스리고 다시 생각해 볼 때, 인권 선진국으로서 프랑스라는 '타인의 시선'이야말로 우리의 둔감한 인권의식에 따끔한 자극을 주는 가시가 되리라는 점은 선선하게 인정해야 할 것이다.

나는 지금도 내릴 정류장이 가까워 오면 긴장하고, 한 정류장쯤부터 문 앞에 나와 대기하다가, 차가 서면 신속하게 내린다. 그러나 늑장을 부리는 사람을 탓하지는 않는다. 조금 더 마음의 준비를 하고 나서, 차가 완전하게 선 후 천천히 내리는 모험(?)도 해 볼 생각이다.

박복선 (우리교육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