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아시아 민중의 인권현장] 민다나오와 술루의 모로들

"그 섬 위험하다고 하는데, 괜찮겠냐?"

필리핀 민다나오 여행을 구체화할 때 가장 많이 들은 이야기가 위험이었다. 하지만 위험이라는 것이, 실제 상황과 떠도는 이야기 사이에 간극이 큰지라, 여행지를 선택하는데 큰 문제가 되진 않았다.

정작 민다나오에 와서 내가 만난 위험은 실제 존재하는 테러나 무력분쟁이 아닌 위험과 관련한 사회 현상이었다. 필리핀의 다른 섬(루존, 비사얀 등)에 있는 사람들조차도 민다나오를 위험 지역으로 보고 경계를 풀지 않았다. 그리고 위험을 근거로 필리핀 사람들의 인권침해가 비일비재할 뿐 아니라, 이에 대한 문제 제기도 찾아보기 어렵다. 일례로 대형 마트에 들어가려면 경찰이나 사설경비원으로부터 가방검색과 몸 수색을 당해야 한다. 아무런 법적 근거가 없지만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여기에 미국은 민다나오섬이 제2의 아프가니스탄이 될 거라며 떠벌리며 공포를 자극해, 1992년 민중의 힘에 의해 쫒겨난 자국 군대를 다시 민다나오섬에 파견하여 군사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생각해도 필리핀 사회에 가장 큰 위험은, 필리핀 정부와 미국이 그리도 위험하다고 주장하는 필리핀 모슬림들이 아니라, 그 모슬림들의 가난과 기나긴 역사의 시간동안 이들의 권리를 빼앗고 있는 정부의 불법행위일 것이다.

술루의 아이들

▲ 술루의 아이들



민다나오섬과 술루 섬에 있는 모슬림들은 모로(moro)라 불린다. 이들은 필리핀 국가건설이전부터 이슬람과 술탄을 중심으로 나름의 생활공동체와 정치조직을 갖고 있었다. 각 부족들과 술탄 정치조직들은 이슬람 이란 종교 아래 연대 의식을 갖고 있었고, 스페인의 카톨릭 개종 식민정책에 강력히 저항하며 독립투쟁을 전개했다.

하지만 스페인 식민통치 시기에도 겨우 명맥을 유지하던 모로 생활공동체와 정치조직은, 미국의 식민통치가 이들의 생활기반인 땅을 빼앗고 루존섬과 비사얀에 사는 카톨릭 교도들을 대거 민다나오와 술루 섬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파괴되고 말았다.

미국은 식민통치 시기 등록하지 않은 땅을 모조리 빼앗았는데, 모든 창조물은 신의 것이고 사람은 관리자에 불과하다고 믿은 모로들의 땅은 대부분 몰수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거기에 미국은 다른 섬의 카톨릭 교도들을 대거 민다나오와 술루 섬으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이들에게 모로로부터 몰수한 땅을 분배했다. 모로들은 카톨릭 교도들보다 더 많은 토지를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이 제정됐다. 이주정책과 토지정책은 필리핀의 독립 이후에도 한동안 지속됐다. 필리핀 정부는 1960년대까지 가난한 루존, 비사얀 섬의 사람들을 매주 1,000여명씩 민다나오로 보냈다(1913년 민다나오 내 모로가 76%였으나, 1939년에는 34%, 1999년에는 19%로 줄어들었다). 그 과정에서 민다나오 모로들이 토지사용권을 지키기 위해 정착민들과 충돌할 수 밖에 없었는데, 필리핀 정부는 모로의 그러한 행위를 그들의 성격 탓으로 돌리고 그들의 폭력성에 대한 편견을 사회에 심어주었다.

결국, 현재 비옥한 땅에서 쌀, 코코넛, 옥수수 농사를 짓고 사는 사람은 루존섬, 비사얀 섬에서 온 이주민들이고, 대규모로 바나나, 파인애플, 고무를 생산하고 있는 자는 다국적기업들이다. 모로는, 땅도 뺴앗기고 공동체도 잃어 버렸다.

민다나오는 풍부한 지하자원과 거대한 플랜테이션으로 국고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정부는 민다나오, 특히 모로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거의 인프라 구축이나 기타 공공서비스를 위한 재원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지난 3월 모로 자치지역 중 하나인 술루를 방문했었는데, 전기시설이 미비하여 하루에도 몇 번 정전사태가 발생했고, 수도 시설 역시 제대로 갖춰있지 않아 2층 숙소에서는 거의 물을 사용할 수 없었다). 필리핀 정부는 1999년 약 25조원을 국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집행하였으나 모로 자치 지역에는 전혀 집행하지 않았다. 필리핀 인력개발 보고서에 의하면, 가장 가난한 10개의 도 중 8개가 민다나오에 있다.

술루 사람들은 대부분 바닷가에 집을 짓고 산다.

▲ 술루 사람들은 대부분 바닷가에 집을 짓고 산다.



그리고 필리핀 정부는, 정치 영역에서도 모로들을 배제하는 방식을 선택했는데, 지금까지 정부 각료와 상·하원에 모로가 단 한 사람도 배출되지 않았다.

모로에게 이슬람 종교와 문화는 그들의 정체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카톨릭 국가에서 이들의 종교는 전혀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 모로들의 정치세력화가 1968년 자비드 학살 사건으로 촉발되었는데, 이는 필리핀 정부가 모로 군인 30명에 대하여 형제 모슬림 나라인 말레이시아를 공격하도록 명령하였으나 이들이 위 명령에 불복종하자 이들을 전격 처형한 사건으로, 모로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태도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이 사건을 계기로 모로는 본격적인 무장 투쟁에 돌입했다. 그리고 무장투쟁은 MNLF(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와 MILF(Moro Islamic Liberaion Front)와 MILF(Moro Islamic Liberaion Front) 등의 정치 세력으로 발전했다.

더 큰 문제는 필리핀 군대가 납치범과 테러범을 속출한다며 마을에 들어가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권을 공공연히 침해하고 있다(필리핀 인권단체 TFDP가 2003. 1. 1.부터 6. 3.0까지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인권침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이 민다나오이고, 군대에 의한 인권침해(50%)가 가장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미국은 민다나오에 있는 플랜테이션 다국적 기업 보호와 천연자원, 동남아시아 거점 확보를 위해, 모로를 외국 테러 조직과 연계시키며 테러 리스트에 포함시키겠다고 협박하고 있다.

지난 2월 모로 자치지역인 술루 섬에서 무장 군인들이 일가족 4명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지만 무슨 이유로 군인들이 그들을 살해했는지에 대한 결과는 아직도 발표되지 않고 있다. 이 사건으로 일가족 살해 사건으로 교전이 확산되어 2005. 2. 1.부터 2005. 3. 24.까지 9,879가족, 57,900여명의 피난민이 발생했고, 이들에 대한 구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도, 정부와 필리핀 언론은 침묵할 뿐이다.

모로들의 주장은 민다나오의 독립부터 자치권의 확보까지 다양하지만, 중요한 공통분모는 과거 국가가 부당하게 빼앗은 모로의 땅을 반환하고, 그들의 공동체를 인정해 달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말한다. 모로의 이야기는 과거의 이야기라고. 과거에 집착해 현재까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지금의 질서를 파괴하는 그들이야말로 필리핀 사회의 위험 요소라고. 하지만, 과거 아무런 영문도 모른 채 땅과 공동체를 파괴 당하고 현재까지 소외와 가난으로 허덕이는 이들을 누가,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 불법행위에 국가권력이 개입하면 정당화될 수 있는가? 불법을 바로잡겠다고 정의를 회복하겠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목소리가 위험하다면, 무력과 제도를 이용해 소중한 개인과 공동체의 권리를 빼앗는 국가 권력은 정당한 것인가?

물론 이유가 정당하다고해서 무력사용이 옹호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역사적 배경을 무시한 채, 그들이 무장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그들의 주장과 그들의 행동을 위험한 것으로 간주하고, 위험을 과장·왜곡하는 것 역시 심각한 문제이지 않을까?

잠시 술루에 체류했을 때, 숙소 바로 옆 고등학교에서는 졸업식이 한창이었다. 베르디의 개선 행진곡에 맞춰 당당하게 걸어나가던 술루의 학생들, 그들의 미래는 과연 어떨까? 파그만의 정원에 나온 한 구절이 머리에서 맴돌았다. 현재는 감옥에 갈 위험이 있고 미래는 희망이 없다면, 무엇을 선택하란 말인가? [필리핀=이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