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아그대다그대

내 인생의 '자존심'

가원

흔히 쓰는 ‘자존심을 세운다’ 내지는 ‘부린다’라는 표현을 들으면 ‘자존심’이 부정어처럼 들리는데, 심리학적으로는 자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한다고 한다. 고로 자존심을 세우는 건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타인으로부터 부정되는 경험 때문이 아닐는지.

  

민선

난 자존심이 센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제 자존심이 허락되지가 않네요” 양회동 열사가 남긴 말에서 자존심을 다시 생각하게 됐다. 나를 지키는 마음, 자존심을 세거나 약하거나처럼 크기로 잴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말이다.

  

'마지막', '남은', '지킨다'. 자존심을 떠올리니 앞뒤에 가장 많이 붙는 말들이 자연스레 따라온다. 가장 밑바닥에, 가장 중심에 남아 있는 것이기에 그만큼 소중하고 가장 절박한 것. 그리고 남아 있기 때문에 지킬 수 있는 것. 그걸 계속 잊지 않으려 한다.

 

어쓰

자존심이 ‘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이라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는 말은 스스로를 존중할 수 없게 만드는 상황에 대한 저항일 테다. 국가가 나서서 노동자의 자존심을 짓밟는 지금, 노동자가 자기 자신을 존중할 수 없다면 대체 누가 그럴 수 있을까. 스스로를 존중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미류

2016년 동료의 죽음을 품고 노조 파괴에 맞서 싸운 유성기업 노동자를 인터뷰한 적이 있다. “노동조합 파괴에 맞서 최전선에서 잘 싸우는 노동조합이라는 말도 들어요. 밖에서 그런 시선으로 보는 게 부담스러울 때도 있어요. 창피할 때도 있고. 그냥, 안 싸울 수 없는 거예요. 우리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 싸우는 거, 끝까지 싸우겠다는 각오만 다질 뿐이에요.” 함께 지켜야 지킬 수 있는 것이 있다.

 

해미

나의 ‘존엄’을 짓밟으려는 ‘폭력’에 굴복하지 않고 스스로를 지키는 마음. 자존심. 그 마음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 죽음뿐이었던 건설노동자. 한 명의 인간으로서 스스로를 지키려는 마음조차 기어코 짓밟은 공권력을, 언론을, 혐오와 차별을 두고두고 기억할 것이다. ‘우리’의 자존심을 기어코 지켜내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다. 

  

정록

민중가요 가사 중에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라는 게 있다. 긍지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이 좋았다. 반면 자존심은 나에게 어색한 단어였다. 하지만 결국 자존심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 우리 모두의 자긍심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