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도란거리는 사랑방

[도란거리는 사랑방] “아무것도 버리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바꾸지 못할 거야”

<편집인 주> 20주년을 맞은 인권운동사랑방이 다시 변혁을 꿈꾸는 인권운동의 질문을 담아 책자를 발간했다. <인권오름>은 그 중 '도란거리다' 장에 실린 글의 일부를 몇 차례에 나누어 싣는다. 일상, 관계, 활동 속에서 어제의 고백이기도 하고 내일의 다짐이기도 한 사랑방 활동가들의 목소리가 <인권오름> 독자들에게도 든든한 기운으로 전해지기를 바란다.


지난 몇 년 동안 사랑방 활동을 하면서 ‘답답함’을 많이 느꼈다. 항상 쫓기듯이 바쁘게 활동했지만, 이 활동이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잘 알 수 없었다. 나의, 그리고 사랑방의 활동이 이 사회를 인권적으로 바꾸는 데 무엇을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도 잘 보이지 않았다. 우리는 하나하나의 개별적인 사건에만 집중하지 않고 그러한 사건들을 낳고 있는 구조에 대해 문제제기하며 바꿔 나가고 싶은 것인데 과연 우리의 활동들은 그러한 큰 틀의 전망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확신할 수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은 조직적 위기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사랑방의 다른 활동가가 무슨 활동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고 활동의 고민을 함께 나누기도 어려웠다. 그러다 보니 회의에서 운동에 대한 서로의 비전과 고민을 나누기보다는 사무적으로 안건을 ‘처리’하는 데에만 급급하다는 느낌이었다. 그런 상황이 지속되자 답답함을 넘어 고립감까지 느껴지기도 하였다. 그런데 나 혼자만 그런 생각을 하고 있던 것이 아니었다. 이야기해 보니 사랑방 활동가들 대부분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대로는 안 되겠다.’, ‘변화의 지점을 모색해 보자.’는 서로의 욕구를 확인하며, 사랑방 20주년을 기점으로 사랑방 운동의 전략을 함께 모색해 보게 되었다.

전망은 멋진 이론을 통해서가 아니라, 현실을 정확히 진단하고 현실이 발 딛고 있는 역사를 풍부하게 인식함으로써 튼튼하게 세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랑방에서는 지난해 운동 전략 논의를 시작하면서 사랑방 20년의 역사를 먼저 살펴보았다. 매달 발행하는 사랑방 후원인 소식지인 <사람사랑>을 1호부터 검토하고 예전 회의록과 인터넷 게시판들을 뒤지면서 사랑방 20년 활동 연표를 만들었다. 그리고 사랑방 운동의 근간을 이루고 활동의 기풍을 만들어 온 주요한 문서들도 정리해 현 활동가들과 함께 공유하기도 하고, 각 팀별 활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평가하면서 이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공동의 평가틀을 고민하기도 하였다. 또 사랑방 운동의 핵심 기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인권운동의 진보성과 대중성’을 현재적인 의미에 맞게 새롭게 조망해 보기도 하였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사랑방의 역사에서 활동과 조직의 큰 흐름과 몇 가지 경향성 및 변화를 흐릿하게나마 읽어낼 수 있었다.

사랑방의 역사를 통해 나는 크게 두 가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내 입으로 말하기는 조금 부끄럽지만, 사랑방 20년의 역사가 사랑방 활동가들이 충분히 자랑스러워 할만한 역사라는 점이다. 사랑방은 언제나 권력과 타협하지 않고 진보와 변혁의 입장을 견지하고자 치열하게 운동을 고민해 왔다. 그 과정에서 권력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가끔은 ‘우리(진보 진영)’에 대한 쓴소리도 마다치 않았다. 그리고 사랑방 스스로도 엄격한 잣대로 성찰하는 것에 그다지 게으르지 않았다고 본다. 선배들로부터 전해진 이런 운동의 분위기를 통해 지금의 사랑방이 있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우리 사회 및 사회운동의 변화와 역사 속에서 사랑방의 독특한 위치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사랑방이 처음 만들어진 1993년 즈음은 여러 시민단체들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던 시기였다. 87년 6월 항쟁과 이어진 노동자 대투쟁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는 수많은 대중운동 조직들이 만들어졌고 그 운동들이 민중운동의 큰 흐름을 주도하였다. 전국민적인 지지를 통해 민주화운동은 민주와 인권이라는 시대적인 가치를 형성할 수 있었고, 민중운동은 급속히 성장하였다. 이때 형성된 시대적인 가치는 90년대에도 이어지면서 사랑방 활동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민주와 인권이라는 시대 가치하에서 인권은 규범적인 힘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90년대 초반 구소련을 비롯한 동구 사회주의권이 잇달아 무너지고 한국 사회에서도 ‘문민정부’가 등장하는 등 우리 사회에 새로운 공론장이 열리면서 시민운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시민운동의 주류는 기존의 민중운동과는 선을 그으면서 독자적인 활동가조직으로서 전문성으로 무장한 정책 중심 활동을 주요한 정체성으로 삼게 된다. 사랑방은 이러한 시민운동 주류의 흐름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인권운동의 전문화, 국제화, 대중화를 통해 일종의 전문적인 역량으로서 사회 변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랑방은,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경계에서 시민운동적 방식을 통해 민중운동을 확장시켜 나가고자 하는 전략을 통해 일정 정도 성과를 낳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 기반에는 민주화운동이 만들어 낸 사회적인 규범으로서 인권이 갖고 있던 힘도 작동하고 있었을 것이다. 사랑방 선배들은 종종 이 시기를 “인권이라는 말만 해도 새롭고 먹힐 수 있었던 시기”라고 말하였다. 실제로 이때 사랑방은 많은 사회 의제들을 선도적으로 제기했고 타협 없는 투쟁을 통해 성과를 쟁취하였다. 때론 인권이 거부하기 힘든 사회적인 규범이었기 때문에, 또 때론 당시 건재하던 대중운동과 결합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97년 IMF 관리 체제와 소위 ‘민주정부’라는 김대중 정부의 등장 이후 한국 사회에서 신자유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의 성과가 일정 정도 제도화되면서 많은 것들이 변화하게 되었다. ‘인권 대통령’을 표방한 김대중 정부의 등장 이후 인권은 더 이상 저항의 언어만이 아니라 제도 정치의 언어로 포획되면서 가치 경합적인 언어가 되었다. 인권은 더 이상 “말만 해도 새롭고 먹히는” 의제가 될 수 없었다. (물론 우리 활동가들의 부족함도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신자유주의가 본격화되면서 기존의 대중운동은 급격하게 쇠퇴하였다. 대중들도 더 이상 이전과 같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 가운데 사랑방은 활동 방식과 필드에 있어서 여전히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이미 이 경계도 모호해졌지만)의 경계 전략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더 이상 사랑방이 제기한 의제에 공명할 만한 힘 있는 대중운동은 존재하지 않았다. ‘촛불 대중’처럼 거대한 대중의 흐름은 없지 않았지만, 그 흐름은 좀처럼 운동과 결합하기 어려웠다. 사랑방은 변함없이 치열하게 활동하고 끈질기게 대안을 모색하려고 노력했지만, 언제부터인가 앞으로 나아간다는 느낌보다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불안함과 답답함이 더 커졌던 것 같다. 나의, 우리의 활동이 세상을 바꿔 나가고 있기는 한 건가.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 사랑방은 지속적으로 운동 전략을 모색해 왔지만, 지금까지 뚜렷한 해답을 찾지는 못하였다. 이번 사랑방의 전략도 그 해답이 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다만 이전의 사랑방 전략 논의에서는 사랑방의 역사를 통한 사회운동에서의 사랑방 운동의 위치성에 대한 분석과 고민을 주요한 변수로 고민하지 못했기 때문에 적어도 이번 전략은 그 점에서 진전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전략을 통해 사랑방으로서도 일종의 ‘결단’을 할 수밖에 없었다. 자유권․사회권․반차별과 같은 권리 영역별 팀을 해체하고 통합적인 활동 단위를 만드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지 않았다. 또 이런 결과를 통해 기존의 운동성과마저도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나 하는 고민이 들었던 것도 부정할 수 없다. 이렇게 해도 될까, 이게 과연 괜찮은 길일까 하는 걱정을 수도 없이 하였다. 하지만 역시, 가보지 않고서는 그 길의 끝에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러던 때, 요즘 읽고 있는 만화책 한 장면이 가슴 속으로 돌진해 들어왔다.

"아무것도 버리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바꾸지 못할 거야."
그래, 비틀거리며 가는 게 인생이지, 라고 일단 위안을.
덧붙임

박석진 님은 인권운동사랑방 돋움활동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