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인권으로 기억하는 4.16

[인권으로 기억하는 4.16] 평범한 아줌마, 인권에 빠져들다

[편집인 주]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겠다는 약속은 참사 당일에 벌어진 일을 복기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4.16연대는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을 추진하며 인권으로 4.16을 기억해보자고 제안한다. 기억은 행동이다. 세월호 참사 이전과 달라져야 한다는 열망은, 무엇이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 끊임없이 질문하는 행동이 되어야 한다. <인권오름>과 <프레시안>에 매주 공동 게재되는 연재기사가 하나의 실마리가 되기를 바란다.

내 아이만 잘 키우면 된다고 생각했던 평범한 엄마였다. 그런 내게 세월호 참사는 처음엔 엄청나게 많은 꽃다운 아이들이 구조되지 못하고 죽어야만 했던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그 슬픔을 못 이겨 뛰쳐나와 뭐라도 하자 하며 시작한 세월호 활동으로 보낸 지난 일 년, 그 사이 상상도 못 했던 꼴을 많이 봐야만 했다.
억울하게 자식을 잃은 부모에게 이 나라가 숱하게 남발했던 거짓말, 국회의원의 모욕적인 발언과 행동, 대통령의 영혼 없는 쇼, 유가족의 피눈물 섞인 호소에는 침묵하며 권력에만 유리하게 왜곡을 일삼는 기레기 언론, 툭하면 유가족 앞을 가로막더니 이제는 대놓고 유가족과 국민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찰, 그리고 이런 참사가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인데도 그저 남의 일인 양 유가족을 폄훼하는 사람들... 이들을 보면서 “이게 나라냐? 저게 사람이냐? 어떻게 사람이 저럴 수 있냐?”라는 말밖엔 나오질 않았다. 나아지는 것 없이 계속되는 이 말도 안 되는 상황들 때문에 “지겨우니까 그만하고 집에서 네 애나 잘 봐라”는 행인들의 야유를 들어도, “그럴 시간에 돈 벌 궁리를 해라”하는 친정엄마의 핀잔을 들어도, “네가 그래도 달라지지 않아”라는 언니의 말을 들어도 절대로 그만둘 수가 없었다.
그러면서도 가끔은 “나는 왜 아직도 이러고 있지? 나는 왜 멈출 수 없지?”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아마 단순히 사고 당시 느꼈던 내 슬픔을 극복하기 위함이었다면 “그 정도 했으면 할 만큼 했어”라는 말로 멈출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4.16 인권선언 2차 원탁회의가 5월 9일 열렸다. 앞으로 지역 풀뿌리 토론 등을 거쳐 더 너르고 깊게 인권선언을 함께 제정해나가는 과정을 가질 것이다. 4.16연대 홈페이지에 관련한 소식 및 자료를 올릴 예정이다.

▲ 4.16 인권선언 2차 원탁회의가 5월 9일 열렸다. 앞으로 지역 풀뿌리 토론 등을 거쳐 더 너르고 깊게 인권선언을 함께 제정해나가는 과정을 가질 것이다. 4.16연대 홈페이지에 관련한 소식 및 자료를 올릴 예정이다.


일 년간 죽어라 애썼지만 나아지는 것 없이 반복되는 상황에 지쳐가고 자신의 일임을 깨닫지 못하고 외면하는 사람에 대한 갑갑함이 더해가던 지난 3월, 4.16 인권선언 제정 추진단에 합류해달란 요청을 받았다. 사실 세월호 활동을 함께 하는 이가 도와달라고 하니 머릿수나 채우자는 생각으로 수락했다. 그러면서도 무지렁이 아줌마가 무슨 도움이나 되려나, 세월호랑 인권이랑 무슨 관계가 있나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수락 후 내가 함께 할 일이 무슨 일인지는 알아야 할 것 같아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서 읽어보게 되었다. 40년 가까이 살면서 인권이란 단어 자체에 대해 생각해 본 적도 없었기 때문에 미처 모르고 지나쳤을 뿐이지 참사의 원인부터 지금까지의 과정이 인권이 경시된 데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인권 :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인간의 권리 및 지위와 자격]

돈보다 귀한 생명, 인간이 인간에게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 인간이 인간으로서 함께 해야 할 혹은 범하지 말아야 할 행위들만 자각하고 있었다면 세월호 참사부터 이후 유가족과 국민이 겪어야만 했던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설사 일부 썩은 인식을 지닌 사람들로 인해서 벌어졌다 한들 더 많은 사람이 인권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면 함께 분노하는 사람이 더 많지 않았을까.
그러면서 막연한 감정으로 행동하면서 내 속에서 일었던 여러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인권이란 단어를 통해 얻을 수가 있었다.
“어떻게 사람한테 이럴 수가 있어? 어떻게 사람인데 이럴 수가 있어?”라는 탄식이 절로 나오는, 억울하다거나 부당하다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했던 일 모두가 인권을 경시한 행동이었다.
그동안 나는 “유가족의 슬픔을 공감하는 이유에서 시작해 내 아이를 위해 세월호 활동을 해요”라고 말하면서도 한편으론 ‘언제까지 당장 내 아이에게 더 좋은 볼거리, 먹을거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시간과 노력을 쪼개어 막연히 내 아이가 당할 수도 있는 일이라는 이유만으로 이러고 있을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곤 했다. 그런데 인권의 구체적인 의미와 사례들을 접하며 물질 만능 때문에 대부분의 일의 우선순위가 인권과는 너무나도 동떨어진 것이 이 사회의 문제점이라는 것을 콕 집어 알게 되었고, 나는 우리 아이가 '인간답게, 인간다운 대접을 받으며 살 수 있는 사회'를 원하기 때문에 멈출 수 없다는 걸 깨닫게 되었다.

지금과 같은 사회에서라면 귀한 내 자식에게 좋은 먹을거리만 먹이고, 애써 좋은 것만 보게 하며, 고급 옷을 입히고 애지중지 키운다고 해서 안전하게 자랄 수 없을 것이고, 과목별 사교육과 유학으로 공부를 시켜서 사회에 내보낸다 한들 사람대접을 받으며 살기 힘들 것이다. 온갖 명품들로 치장한다고 해서 나의 권위가 살아나지는 않는다. 먹고살기 힘든 현실을 핑계 삼아 가만히만 있다면 그건 스스로 노예의 삶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권이란 단어와의 짧은 만남에서 변화한 나를 보면서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현재 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던 사람이 인권이란 의미를 깨닫게 된다면 달라지지 않을까, 함께 움직여 변화의 물결을 더 크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4.16 인권선언은 선언문 자체를 잘 만드는 것으로 끝이 아니다. 풀뿌리 토론을 통해 인권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 스스로의 존엄함을 되찾기 위한 움직임을 만드는 준비단계인 것이다. 이에 더해 세월호를 통해 변해야겠다고 다짐했던 사람뿐만 아니라, 오늘날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아감에 고단함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이다. 한 사람이 열 걸음 앞서 걷는 것보다 열 사람이 함께 손을 잡고 걸어 나간다면 그 길은 더 넓어질 수 있다. 무지렁이 아줌마도 함께하는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듯 “내가 무슨 인권을...” 이런 마음은 잠시 접고 4.16 인권선언 추진단에 합류한다면 당신도 스스로의 존엄을 찾아가는 과정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임

김연지 님은 다음까페 '엄마의 노란손수건' 회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