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활동 이야기

수많은 우리는 “왜” 기후정의를 선언하려는가

기후정의동맹 기후정의선언 집담회 후기

연대. 사회운동에서 자주 쓰는 말이지만, 연대가 실질적으로 지속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연대하기 위해 모인 우리는 너무 다양한 차이를 가진 존재들이며, 각자의 자리에서 우선적으로 살피게 되는 의제나 몸담고 있는 운동의 움직이는 방식 또한 다양하기 때문이다. 연대의 이유가 자기 자신의 삶과 운동을 통해 해명되지 않는 한, 연대는 ‘반자본주의’나 ‘체제 변혁’과 같은 지향을 추상적으로 공유하는 단발적인 이벤트에 머물 수밖에 없다.

 

사회적 연대를 꽃피우겠다는 기후정의운동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기후위기’가 코앞에 닥친 문제라고 실감한다고 해서 ‘기후정의’가 내게 자연스러운 단어가 되는 건 아녔다. 그리고 기후정의운동은 “이렇게는 못 살겠다”라는 구호를 외쳤던 이들의 구체적인 삶으로부터 연대의 실마리를 찾아내야 했다.

 

구체적인 삶으로부터 연대의 이유를 찾아, 기후정의선언운동

 

그리하여 기후정의동맹에서 준비한 게 바로 <기후정의선언운동>이다. 기후위기가 삶의 어떤 지점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이때 기후정의가 어떤 방식으로 왜 필요한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스스로 채워가는 선언운동의 과정은 결국 기후정의가 사회운동 공동의 과제일 뿐 아니라 자기 운동의 구체적인 과제가 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니 선언이 단지 선언에 그칠 일은 없다. 나, 그리고 우리의 자리에서 대안을 요구하는 길고 깊은 연대가 이어질 테니 말이다.

 

그렇게 2022년 10월, 『기후정의선언운동 가이드북』*을 냈다. 기후정의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과 기후정의운동의 역사, 다섯 개의 국제기후정의운동 선언 번역문 등 기후정의선언을 준비하며 참고할 만한 여러 자료를 책에 담았다. 그리고 선언운동에 함께하고 싶은 사회운동 동료들에게 책을 보내며, 우리의 기후정의를 선언해 보자고 제안했다. 예상했던 대로 제안을 건네받은 이들이 기후정의선언운동에 함께하고 싶음에도 머뭇거리게 되는 각자의 사정을 말해주었고, 바로 그 지점이 선언운동의 출발점이 될 터였다.

 

지금 여기, 나의 자리에서 기후정의를 선언하기 위해

지난 12월 8일 열린 <왜 지금 기후정의선언운동인가?> 집담회는 제안에 응해준 얼굴들과 만나는 첫 자리였다. 혹시나 급한 사정으로 못 오게 되는 사람이 있을까 노심초사하는 사이 하나둘씩 들어온 사람들이 소회의실을 채워주었다. 그리고 조금은 어색한 분위기 속에서 집담회가 시작됐다. 기후정의선언운동의 취지와 방향에 대한 간략한 설명 후, 본격적인 행사가 이어졌다.

 

먼저, 기후정의 관련한 선언이나 입장을 표명해 본 적이 있는 주체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나눠주었다. 선언을 작성하게 된 계기와 선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했던 부분, 그리고 추후 활용과 방향에 대한 고민 등 발표자들이 나눠준 이야기를 토대로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중 하나는 선언문 작성자의 ‘당사자’ 정체성에 관한 질문이었다. 당사자 정체성이 선언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 드러났으며, 선언문을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았냐는 거였다. 이에 발표자들은 자신의 자리에서 겪고 있는 문제들로부터 ‘내가 원하는 세상’을 떠올린 덕에 기후정의와 자신이 연결되는 지점을 찾기 수월했다고 답했다. 가령, 청소년이 겪고 있는 착취적인 교육 현장과 기후부정의의 현장은 모두 “소수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서 다수의 삶과 지구 환경을 희생”시키는 자본주의 체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지금 여기에서 기후정의를 선언하는 청소년(들)이 원하는 건 “지배와 경쟁이 아닌, 공존과 협력으로 돌아가는 사회”**라는 사실을 선언문 작성 과정에서 확인한 것이다.

 

그다음으로는, 다양한 영역과 의제에서 움직이고 있는 참가자들이 선언운동에 함께하기로 한 이유와 평소 가지고 있던 고민을 나눴다. 기후정의가 당위 이상으로 손에 잡히지 않는 답답함, 하던 이야기만 반복할 뿐 변화가 체감되지 않는다는 피로감, 나와 일상을 공유하는 친구들과 함께하기 위한 방법, 인식하는 수준을 넘어서 스스로가 행위자로 직접 나서기 위한 조건 등. 각자의 자리에서 오랫동안 묵혀두었던 이야기가 봇물 터지듯 쏟아졌고, 참가자들은 끄덕임과 경청으로 공감을 나눴다. 각자의 의지가 벌써부터 연결되기 시작한 것만 같은 좋은 신호였다. 한편, 나에게 이 시간은 기후정의운동이 운동의 ‘최일선 당사자’로 호명되는 주체들과 정말로 잘 만나보려고 하고 있는지를 성찰하는 의미가 있었다. 호명하고 호명되는 걸 넘어서는 연대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건 무얼까. 연대의 자리에 초대하는 사람도 속으로 끙끙 앓고만 있던 지점이었다. 그 따끔한 지적에 자극 받아, 기후정의선언운동의 길을 제대로 내보자는 의지가 확연해졌다.

 

근래 유행하고 있는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문구를 활용해 보자면, 운동에서 중요한 건 ‘끊기지 않는 의지’라는 생각을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서성이기만 했던 바람들이 다른 이들의 바람과 연결되며 더욱 선명한 대안을 만들어내고, 그렇게 우리의 의지가 세상을 기어코 한바탕 뒤집는 게 운동의 묘미 아닐까.

 

그리고 기후정의선언운동은 그 시작점인 ‘각자의 자리’로 돌아가, 보다 단단한 ‘연대’를 조직하려고 한다. 우리의 첫 과제는 이 자리에 모였던 수많은 괴리감과 의문점을 하나하나 잘 짚어 나가는 게 될 테다.

 

 

*[소책자] 221028 기후정의선언운동 가이드북은 기후정의동맹, 인권운동사랑방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안학교 청소년 기후정의연대’가 2022년 8월 28일 발표한 <대안학교 청소년 기후정의연대 선언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