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아그대다그대

내 인생의 '이 길의 전부'

<이 길의 전부 - 꽃다지>

좋은 이들과 함께 한다는 건
내가 걸어가는 이 길의 전부
우리 시작도 좋은 이들과 함께 사는 세상
그것을 꿈꾸었기 때문이죠

아무리 내 앞길이 험해도
그대로 인해 내가 힘을 얻고
슬픔도 그대와 겪으니
나도 따라 깊어지는데

언제나 당신에게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더 커지고 맑아져
그대 좋은 벗 될 수 있도록

♪~(っ˘▿˘)(˘▿˘)˘▿˘ς)~♫

 


가원

30주년 합창 연습을 하면서 <이 길의 전부>의 후렴구 ‘언제나 당신에게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구절을 부를 때 떠오르는 얼굴들이 적지 않았다.
그이들의 얼굴을 차근히 떠올리며 나는 나의 노래를 불렀다. ‘이제는’ 당신에게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정록

처음 해보는 합창 연습은 긴장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합창 연습이 거듭될수록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박자와 멜로디를 맞추는 데 급급했었는데, 가사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 길의 전부> 가사가 부담스럽게 느껴졌다.
'언제나 당신에게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이 부담감 덜어낼 수 있도록~ 잘 살아봐야겠다.

   

민선

30주년 후원의 밤에 합창공연을 하기로 하며 5주간 매주 화요일 오전마다 연습을 해왔다. 메인곡인 꽃다지의 ‘이 길의 전부’를 연습하다 울컥하는 순간이 있었다.
끝 모를 수렁에 빠진 듯이 힘든 때가 있었고, 소화하지 못한 감정을 날선 말과 함께 내보이며 상처를 주고받기도 했다.
지나온 시간들이 스쳐 지나가면서 어느 순간 당연하게 여기고 소중히 해야 할 것들을 놓치고 있었구나 알게 되었다.
곁이 있다는 고마움과 든든함을 이 노래를 부르면서 많이 떠올렸다. 미처 못한 말, “함께 있어 다행이고 고맙다.”는 그 말을 대신 담아준 이 노래를  우리가 함께 부를 수 있어 다행이었다.
좋은 동료가 되길 바라며 다시 몸과 마음을 움직이며 부대껴보려는 지금, 이 시간을 만들어 준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어쓰

청소년 운동을 하던 시절, “왜 사회활동을 하냐”라는 질문을 받는 일이 많았다.
어떤 때는 활동이 재미있어서 한다고 대답했고, 또 어떤 때는 같이 하는 사람들이 좋아서 한다고 대답했던 것 같다.
그때는 스스로에게도 같은 질문을 던지는 일이 많았는데, 언제나 속 시원한 대답을 찾지는 못했다.
그래도 돌이켜 생각해 보니, 노래 가사처럼 ‘이 길의 전부’까지는 아니더라도, 결국 나를 부르고 붙잡아둔 건 주변의 ‘좋은 이들’이었구나 싶다.

  

미류

필라테스 강사님이 30주년 특별페이지를 보고 나서 해준 이야기. “다들 너무 선하게 생기셨더라고요.” 빙긋 웃었다.
가까이서 온갖 표정을 겪다 보면 인상이 선하다 느낄 겨를이 어딨나. 나도 마찬가지라, 남에게 좋은 사람이 못 되는 것 같아 속상하거나 씁쓸할 때가 더 많다.
노랫말이 다 소화가 안 되다 깨달았다. 원래부터 좋은 이들이라 만나게 되는 것도, 좋은 이들끼리만 걷는 것도 아니었다. 함께 하며 서로를 좋은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게 이 길이었다.
30주년에 함께해준 이들을 떠올리니,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해미

어릴 적에는 ‘남는 건 사람이다.’보단 ‘남는 건 성취다.’에 가깝게 살았던 것 같다. 내 앞길 챙기기에만 급급하며, 쉼 없이 내달리기만을 반복했다.
그런 내게 더 깊은 길을 걸어가는 여유, 그리고 다른 이들과 함께 이어 달리는 힘을 알려준 “좋은 이들”이 너무나도 많았고, 또 여전히 많다는 게 어찌나 큰 행운인지.
지금도 종종 나는 누군가에게 곁을 내줄 틈 없이 혼자서 달려나가려고 할 때가 있다. 그럴 땐 잠시 멈춰 서서, “언제나 당신에게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을 곱씹으려 한다.
앞으로 내가 걸어갈 길에 가장 짙게 남기고픈, ‘내 인생의 “좋은 이들”’을 떠올리며.

  

이번 소식지 후원인 인터뷰의 주인공인 한낱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서로를 안 지는 오래되었지만 몸을 부딪히며 뭔가를 함께 만들어가는 활동을 해보지는 못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겉에서 보기에 좋은 사람인 줄 알았는데 막상 같이 해보니까 한낱 저거 아주 속 썩이네, 이럴 수 있다?!" 맞다. 하지만 동시에 떠올렸다.
몇 년 전 내가 몹시 애정하고 존경하는 사람과 일하며 큰 실망감과 힘든 시간을 조심스럽고 길게 통과한 이후, 나는 어느 날 불현듯 우리가 더 진실된 관계로 진입했음을 깨닫게 되었다.
"즐거움만 공유하는 건 오히려 쉬운데 일을 하면 힘든 일도 같이 겪잖아. 우리가 또 엮일 뭔가가 남아 있네."
즐거움도 슬픔도, 힘을 얻는 일도 힘든 일도 모두 겪으면서, 서로를 따라 함께 깊어질 시간을 기대하는 것.
때로 외면하고 포기하고 싶을 만큼 어려운 일이지만, <이 길의 전부>를 부르며 '좋은 벗'이 되겠다 노래한 마음인 것 같다.

  

대용

2020년도 후원인을 모아보자며 “빠듯하지만 뿌듯하게”를 진행했을 때도 쉽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상임활동가들끼리는 서로 잘 할 수 있을거 같다는 마음이 강하게 공유되었다.
그런데 올해는 30주년이라고 이것저것 준비하다보니 상임활동가들 사이에선 부담이 알게 모르게 많았던 거 같다.
원래 자기 자신을 아는 게 가장 어렵듯 이거 준비한다고 될지, 누가 우리 30주년이라고 챙겨서 축하하고 ‘엮이겠다고’ 해줄지 짐작이 안 됐다.
하지만 준비하는 과정에서 만난 합창 선생님과 반주 선생님, 함께 위원회, 전 사랑방 활동가들, 동료단체 활동가들 모두가 너무나도 마음내어 주는데, 부담된다고 주저앉을 수 없는 자리구나 싶어졌다.
그 이후 나에게 30주년 준비는 ‘잘 되는 자리는 어떻게든 만들어볼 테니 그 자리를 빛내주십사’ 요청하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그 자리의 끝에 함께 부른 “이 길의 전부”는 거짓 없이 마음을 담아 부를 수 있는 노래였다는 생각이 든다.
선곡, 합창, 반주를 도와주신 박미리님 유뎅님께 다시 한번 감사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