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진보주의자로부터 한반도 문제 엿보기
♤ 존 페퍼, 『남한 북한』, 모색, 2005.3.7, 298쪽 ♠ 무엇보다 지은이와 책에 대한 소개가 눈길을 끌었다. “미국에서는 드물게 보는 진보적 시각으로 한반도 문제와 미국 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해서 [...]
♤ 존 페퍼, 『남한 북한』, 모색, 2005.3.7, 298쪽 ♠ 무엇보다 지은이와 책에 대한 소개가 눈길을 끌었다. “미국에서는 드물게 보는 진보적 시각으로 한반도 문제와 미국 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해서 [...]
우리들에겐 필요한 물건을 사고 만들고 하는 것은 자유로운 행위입니다. 그러나 교도소에서는 어떨까요? 교도소에서도 자비로 물건을 살수는 있답니다. 그 물건이 한정적으로 지정되어있거나 필요성을 인정받아야 하는 [...]
18일(일) 18시부터 20일(화) 0시까지 호스팅 서버 관련 문제로 홈페이지에 접속이 불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10월이면 북인권 담당자로서 활동한 지 꼭 1년이 된다. 97년 인권운동사랑방에 들어와 영화제 담당자로서 활동한 이후 한 번도 ‘보직’을 바꿔본 적 없는 나에게 인생의 중요한 변화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경내 언니로부터 ‘자원활동가의 편지’를 써보겠느냐는 제안을 받았을 때 나는 선뜻 그러마고 응했다. 예전의 나였다면 ‘저는 그런 거 못해요. 죄송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의뢰하면 안 될까요?’라며 극구 거절했을 [...]
♤ 막달레나의집 엮음,『용감한 여성들, 늑대를 타고 달리는』, 삼인, 2002.5, 320쪽 ♠ 장애인을 위한 섹스자원봉사에서 시작한 이야기가 성매매 논쟁으로 방향을 튼 후, 벌써 세 번째 모임이다. 그동안 [...]
■ 교육활동의 예 ▷ 다양한 직업카드를 갖고 노동자인지 아닌지를 구분해보는 ▷ 채용과정을 직접 체험해 보는 ▷ 그림판에서 산업재해 상황을 가려내는 ▷ 인권침해 상황을 직접 상황극으로 재현해보고 권리카드 [...]
늘 후회는 늦은 법이다. 내게 붙은 별명은 여러 가지이지만 그중에 하나가 ‘일중독’이라는 것이다. 중독은 아무리 좋은 것에 중독되었다고 해도 안 좋은 것이다. 아무리 좋은 약도 과하면 독이 된다지 않는가. [...]
사랑방 식구들과 여름 수련회를 함께 갔다 왔다. 사실 사랑방식구의 일원이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분위기 적응으로 오랜 시간을 보내 왔던 차에 이런 글을 쓰게 될 거라곤 생각지도 못했다. 사랑방 안에서는 많은 [...]
♤ 이성숙,『매매춘과 페미니즘,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책세상, 2002.4, 142쪽 ♠ 지난번 모임을 통해 가장 풀기 힘든 문제는 ‘우리에게 섹스는 무엇인가?’였다. 우리가 섹스에 대해 가지는 생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