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공포'의 향연을 멈춰라

양홍관 씨, "정형근 의원이 성기고문했다"

14일 조작간첩사건의 피해자인 양홍관 씨는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조선노동당 사건은 안기부의 고문에 의해 조작된 사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한 인간이 '공포'에 의해 어떻게 지배받게 되는지 폭로했다.


고문에 의한 허위자백

"92년 9월 12일 10여명의 사람들이 3대의 차를 타고 와서 영장도 없이 누구인지 밝히지도 않은 채 나를 밖으로 끌고 나가 강압적으로 차에 태웠다"며 양 씨는 당시의 사건을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양 씨는 어딘지도 모르는 건물 지하실 방으로 끌려 내려갔고, 그때부터 견디기 힘든 고문의 연속이었다. "옷을 벗으라고 해서 거부하자 7, 8명이 달려들어 때리며 강제로 옷을 전부 벗겼다"며 그때 느꼈던 공포와 수치심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그것만이 아니었다. "(수사관들이) 여기에 온 이유를 알고 있지 않느냐"며 자백할 것을 강요했고 양 씨가 "누군데 이러느냐"고 묻자, 바로 주먹이 들어왔다. 그러더니 양 씨에게 "너는 남한조선노동당에 가입한 간첩으로 중부지역당 강원도당 책임비서임을 자백하라"며 들어보지도 못한 말들을 들이대며 협박을 했다. 결국 비녀뽑기, 긴자루를 무릎에 끼워 넣고 밟기, 창틀에 묶어 놓고 치기 등 3교대로 행해진 숱한 고문에도 양 씨가 진술하기를 거부해 수사가 진척되지 않자, 당시 안기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이었던 정형근 의원이 조사를 한 것. 양 씨는 "어느날 점잖게 생긴 사람이 들어왔다. 그러더니 막대기를 가지고 성기를 10대 정도 쳤다. 그때 느낀 분노와 모멸감, 그리고 '여기서 못 살아나가겠구나'라는 절박한 심정이 그 사람(정 의원)의 얼굴을 기억하게 했다"며 정 의원이 성기고문을 했음을 확실히 밝혔다. 결국 계속되는 고문과 회유에 지칠대로 지친 양 씨는 수사관들이 원하는대로 '허위 자백'을 하게 됐고, 그 결과 '민족해방애국전선', '조국통일애국전선','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등을 엮은 '남한 최대 간첩단'의 일원이 된 것이다.

양 씨가 고문당할 때부터 그 인물이 정 의원인 줄 알았던 것은 아니다. 나중에 수사관들에게 "'귀두치기'를 한 사람이 누구냐고 물었더니 엄지손가락을 내밀며 '우리 사장이야'라고 했다"고 전했다. 98년 준법서약서를 쓰고 사면된 뒤, 당시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정 의원을 TV에서 보고 그인 줄 알아보게 됐다. 양 씨는 "정 의원이 내가 하부조직원이어서 잘 기억이 안 난다는 것은 거짓말"이라며 "12년형을 받을만큼 핵심인물이었던 나를 기억하지 못할 리 없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에 대해서도 "청회색 바지를 입고, 상의는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매고 있었다. 인상은 부드러웠지만 특유의 비웃는 듯한 표정과 경상도 말투를 쓰고 키는 나와 비슷한 수준으로 173cm 정도였다"고 묘사할 정도로 자세히 기억하고 있었다.

정 의원이 명예훼손으로 고소, 고발한다는 것에 대해 양 씨는 "조사과정에서 (정 의원이) 성기고문 장본인으로 드러날 것"이라며 "그대를 위해, 그리고 많은 상처받은 사람들을 위해서 고소고발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이어 "만약 고발한다면 결국 당신은 당신의 덫에 걸릴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국보법의 공포 재현 막아야

양 씨는 이철우 의원과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전대협 활동으로 87년부터 알고 지냈다"며 "92년도에는 조애전의 조직활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했다"고 말하며, "조애전은 민해전과는 분명히 다른 조직으로 이 의원은 민해전에 가입한 사실이 없으며 그 실체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최근 한나라당의 색깔 공세에 대해서도 양 씨는 "이 사건을 보면서 그때의 두려움과 공포가 다시 떠올랐다. 기자 분들은 어떨지 모르지만, 나에게 이런 공포는 여전히 실체다"라고 털어놓았다. 또한 "한나라당은 이 의원 사건을 악용해 국가보안법을 온존시키려 하는 것"이라며 "냉전수구세력들은 위기를 느낄 때마다 공안과 색깔론을 내세워 정권을 유지하려 했고, 이번 사건도 그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양 씨는 "어머니한테 전화가 왔는데, '혼자 다니지 말아라', '가족들이 다른 곳으로 갔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하셨다. 중학생 아들은 기사를 보고 '정형근을(한참 말을 잇지 못하며) 죽여야 한다'라고 했다. 아이에게도 살기를 느끼게 한 사건이었다"며 이번 일이 가족에게도 힘든 과정임을 토로했다.

'공포'를 통치 수단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국가보안법 폐지가 그 첫 관문이 되어야 함을 양 씨 사건을 통해 다시금 확인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