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아시아 민중의 인권현장] 재앙의 땅에서 만난 아이들

미군기지 철수의 땅, 수빅과 클락 방문기

"과학자들조차도 사방가도는 사람이 살아서는 안 되는 지역이라며 땅의 심각한 오염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 정부에 지역폐쇄와 경고문구 게시를 요구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고 있습니다" 차는 이미 밀라 '국제 미군기지정화운동 연합'(Alliance for Bases Clean UP International: ABC International) 사무국장이 가리 킨 위험지대 안으로 들어가고 있었다. 입구부터 시작된 인가는 뜀 없이 이어졌다. 10여분쯤 더 달린 후 차는 어느 집 대문 앞에 멈췄다. 하나 둘, 아이를 안은 엄마들이 집으로 모여들더니 작은 마당은 금세 사람들로 가득 찼다.

"이 아이는 님플, 심장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성장과 발육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이 아이는 존말이에요. 간에 문제가 있지요. 이제 두 살밖에 되지 않은 이 아이는 자궁질환을 갖고 태어났고, 조지와 에드워드는 각각 11살인데 둘 다 소아마비를 앓고 있어요. 그리고 이 아이는……." 영어를 못하는 아이들의 엄마를 대신해 밀라가 아이들의 상태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의학용어로 시작된 설명은 끊임없이 이어지더니, "아이들 대부분이 빠른 시간 안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생명이 위태로운 상태지만 돈이 없어 병원에 가는 것조차 어렵다"는 말로 끝났다.

갑자기 화가 북받쳤다. '왜 계속 여기서 살고 있는 것인가? 위험하다는 사실을 뻔히 알면서, 이미 아이들로써 그 심각한 위험이 증명됐음에도 불구하고 왜 떠나지 않고 있는 것인가? 무엇을 기대하며.' 하지만 화는 번지수를 한참 잘못 찾았다. 누구라고 떠나고 싶지 않았을까? 이 저주받은 땅을. 하지만 그들은 갈 곳이 없다. 애초부터 조금이라도 선택의 여지가 있었더라면 미군에 의해 저주받은 클락(Clark)의 사방가도에는 발조차 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사방가도는 미군의 기지창고가 있었던 곳으로 클락에서도 환경오염이 가장 심각한 곳 중 하나이며, 이 지역 주민들 대부분은 미군기지에서 일했던 노동자들이다.

태어날 때부터 소아마비를 앓고 있는 에드워드와 그의 엄마. 그의 웃음은 너무 해맑았다.

▲ 태어날 때부터 소아마비를 앓고 있는 에드워드와 그의 엄마. 그의 웃음은 너무 해맑았다.



사방가도의 아이들. 미군이 남긴 재앙이 언제 이들의 웃음을 빼앗아 갈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 사방가도의 아이들. 미군이 남긴 재앙이 언제 이들의 웃음을 빼앗아 갈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88년 미군 주둔의 역사

마닐라에서 불과 70∼80킬로미터 떨어진 수빅(Subic)과 클락이 미군기지로 이용되기 시작한 건 필리핀과 미국의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한 뒤부터. 1880년대까지 스페인 해군의 선박수리소가 있었던 수빅에는 1903년 해군기지(Subic Naval Station)가, 클락에는 1910년 공군기지(Clark Air Base)가 만들어졌다. 1946년 미국의 필리핀 식민지배가 끝난 뒤에도 두 기지는 굳건히 유지됐다. 필리핀과 미국은 1947년 기지협정(Military Bases Agreement)을 체결하고 99년간 무상 기지임대에 합의했다.

하지만 1966년 마르코스 대통령이 미군기지에 이의를 제기하고 나오면서부터 철옹성 같던 기지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마르코스는 기지협상을 재개하여 임대기간을 25년으로 감축시키는데 성공했으며, 1970년대부터는 기지 사용과 관련된 보상 문제를 제기해 일정금액의 경제지원을 약속 받았다. 그리고 1991년 필리핀 상원은 미군 기지임대 연장안을 거부했다. 88년 미군기지 주둔의 역사가 종지부를 찍게 된 것이다. 미군은 91년 철수했고, 두 지역에는 기지전환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수빅과 클락은 경제특구로 지정됐다. 미군의 아시아 최대 기지였던 수빅과 클락이 천혜의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관광과 레저, 경제지구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수빅과 클락의 재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였다.


떠난 기지에 드리운 재앙

"저는 이미 죽은 사람입니다" 수빅 피해자들의 조직 '수빅 자연자원보호 운동본부'(Yamang Kalikasan Aming Pangangalgaan: YAKAP, 아래 수빅 운동본부) 사무실에서 만난 리노는 이렇게 자신을 설명했다. 일흔을 넘긴 리노는 1957년부터 미군기지와 관련된 일을 해왔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도 미군을 위해 일했으며, 괌 기지에서 일하기도 했다. 35년 동안 미군기지에서 일하면서 그는 석면을 비롯한 여러 가지 화학물질에 노출됐고 오염됐다. 그와 함께 일했던 동료들은 이미 결핵 등의 질환으로 고인이 된지 오래다. 마일도 마찬가지다. 미군기지에서 청소일을 했다는 마일은 "쓰레기를 치우다가 (화학물질 냄새에) 여러 번 기절했습니다. 관리인은 이 사실을 다른 동료들에게 얘기하지 말라고 했고, 저는 계속 몸이 안 좋았지만 직장을 잃을까봐 아프다는 얘기를 하지 못했습니다. 후에 병원에 갔을 때 의사는 폐암을 선고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리노. 그는 수빅 미군기지를 손바닥처럼 꿰고 있었다.

▲ 리노. 그는 수빅 미군기지를 손바닥처럼 꿰고 있었다.



마일은 죽을 날만을 기다리면서 산다고 했다. 폐는 물론 심장과 혈액에도 이상증세가 나타나고 있다.

▲ 마일은 죽을 날만을 기다리면서 산다고 했다. 폐는 물론 심장과 혈액에도 이상증세가 나타나고 있다.



재앙은 수빅기지에서 일했던 노동자들에게만 찾아온 것이 아니었다. 일했던 노동자들은 물론 그들의 자녀에게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그리고 미군 철수 이후 기지로 사용됐던 건물들이 공장 등으로 임대되면서 그곳에서 일했던 노동자들과 그들의 자녀들에게도 이어졌다. 제이슨(8)이 바로 그런 경우다. 제이슨의 아빠는 해군기지에서 일했으며, 엄마는 미군철수 이후 핸드폰 조립 공장으로 임대된 미군건물에서 3년간 일했다. 그때 잉태된 제이슨은 생후 3살 이후부터 백혈병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 일했던 동료 가운데 한 명은 유산했으며, 한 명은 제이슨과 유사한 증세를 보이는 아이를 낳았다. 회사에 책임을 묻기도 했지만 사측은 관련성을 부인했다.

6개월에 한번씩 수혈받아야 한다는 제이슨은

▲ 6개월에 한번씩 수혈받아야 한다는 제이슨은 "내가 더 아파지는 거냐"고 묻는다고 한다. 제이슨의 다른 다섯 형제들 역시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거나 잦은 두통을 호소한다고 한다.



조지(가명)는 24년 동안 미군의 무기공장에서 '무기재료'를 만드는 일을 했다. 본인은 신장에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때 낳은 두 자녀 모두 심각한 뇌성소아마비를 증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들은 혼자 힘으로는 몸을 뒤집는 것도 불가능하다.

▲ 조지(가명)는 24년 동안 미군의 무기공장에서 '무기재료'를 만드는 일을 했다. 본인은 신장에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때 낳은 두 자녀 모두 심각한 뇌성소아마비를 증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들은 혼자 힘으로는 몸을 뒤집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 하수구멍을 통해 오염된 물이 미군기지 안에서 하천과 바다로 무단 방류됐다.

▲ 이 하수구멍을 통해 오염된 물이 미군기지 안에서 하천과 바다로 무단 방류됐다.



'미군기지정화 민중운동본부'(People's Task Force for Bases Cleanup: PTFBC) 필리핀 대표인 부기는 "턱없이 부족한 재정과 전문적인 조사인력 확보의 한계, 게다가 미군이 정수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염물질을 바다와 강 등으로 방류했기 때문에 정확한 피해상황을 집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우리가 확인한 것만으로도, 미군기지 노동자로 일하면서 화학물질 오염으로 숨을 거둔 사람만 300명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95년 수빅 관리청이 투자유치를 위해 수빅 44개 지역에 대해 실시한 환경조사에 따르면, 사격연습장·병원소각장 등 11개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화산폭발로 미군기지에서 생활…최대 피해자는 아이들

클락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991년 6월 클락 미군기지 인근에 있던 피니투보 화산이 폭발하면서 생존의 터전에서 내몰린 주민들은 미군이 철수한 기지 안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미군의 클락 공군기지 본부로 사용됐던 캅콤(Clark Air Base Command: COBCOM)에만 약 2만여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미군기지로 사용됐던 땅위에 집을 짓고 밭을 가꾸고, 우물을 파서 식수로 사용하면서 2년에서 5년가량 생활했다. 가끔 물에서 냄새가 나거나 이물질이 보일 때도 있었지만 정부로부터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생존'이 절박했던 이들에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화산폭발로 캅콤에 이주해서 3년을 살았습니다. 요리를 하고 세탁을 하고 씻기 위해 물을 사용했습니다. 그때부터 온 가족이 아프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물 때문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지금 손자는 뇌성소아마비를 앓고 있고, 저 역시 피부병과 두통, 위장장애 등의 병을 앓고 있습니다."

'클락 피해자들의 가족을 위한 공동행동'(Sama-Samanhg Aksyon at Ugnayan ng Mga Pamilyan ng Biktima: SAUP, 아래 클락 공동행동) 사무실에서 만난 노마가 말했다. 노마는 "캅콤에서 나오고 나서 알았습니다. 물이 오염됐으며 이로 인해 저희 가족 말고도 다른 사람들 역시 비슷한 질환을 앓거나 병에 걸렸다는 것을. 저는 단지 평화로운 생활을 원할 뿐입니다. 상황이 이렇게 나쁜데도 정부는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했다.

캅콤에 거주했던 다른 이들의 상황도 전혀 다르지 않다. 케빈은 소아마비를 앓고 있다. 11살인데도 제대로 발육이 되지 않아 6∼7세 정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 아이는 엄마의 품을 떠나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이미 케빈의 동생은 병마에 시달리다 죽음을 맞았다. 10살이 채 되지 않은 라베스 역시 독극물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뇌성소아마비와 백혈병을 앓고 있다.

노마와 그의 손자. 노마는 사람들이 클락을 잊지 않는다면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 노마와 그의 손자. 노마는 사람들이 클락을 잊지 않는다면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꼭 다시 만나자"는 말로 작별인사를 대신했다.



케빈은 혼자 힘으로는 혼자서는 물조차 마실 수 없다. 그래서 케빈의 엄마는 24시간 그의 옆에서 떠나지 못한다.

▲ 케빈은 혼자 힘으로는 혼자서는 물조차 마실 수 없다. 그래서 케빈의 엄마는 24시간 그의 옆에서 떠나지 못한다.




정부 독극물 오염 확인…보상과 복구는 전무

상황의 참혹함은 이미 정부와 전문가 집단의 조사에 의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96년 캐나다 병리역학 전문의인 로살리 베르텔 등 독극물 전문가들이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클락 공군지기 인근 13개 지역에 거주중인 여성 761명 가운데 많은 이들이 이미 독극물에 감염된 상태였다. 특히 캅콤에 거주했던 여성들 가운데 당시 임신을 했거나 아이들이 있었던 경우에는 아이들의 상당수가 머리가 빠지거나 피부병, 암 등의 질환을 보였다.

이후 진행된 다른 조사에서도 많은 수의 아이들이 중추신경 마비, 선천성 심장병 그리고 언어장애 등 희귀병에 걸려 있음이 확인됐다. 환경오염 문제가 붉어지면서 클락 개발공사 역시 우물과 지하수 수질 검사와 토양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폴리염화비페닐 등이 검출됐으며, 14개 지역이 폐쇄되거나 개발이 보류된 상태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치료와 배상은 물론이고 환경오염지역에 대한 복구 정화작업 역시 시행되지 않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미군이 철수한 클락 캅콤에 많은 재원을 들여 엑스포공원을 건설했다. 하지만 부서진 미군 건물 등에서 끝없이 날리고 있는 석면 등의 화학물질과 토양에 스며든 오염물질의 악취 등으로 인해 엑스포 공원은 개장 후 바로 문을 닫았다.

▲ 필리핀 정부는 미군이 철수한 클락 캅콤에 많은 재원을 들여 엑스포공원을 건설했다. 하지만 부서진 미군 건물 등에서 끝없이 날리고 있는 석면 등의 화학물질과 토양에 스며든 오염물질의 악취 등으로 인해 엑스포 공원은 개장 후 바로 문을 닫았다.



현장을 방문했을 때도 몇 명의 아이들이 물을 뜨기 위해 우물가로 모여들었다. 이 우물은 99년 필리핀 정부가 사용금지 명령을 내린 곳이다.

▲ 현장을 방문했을 때도 몇 명의 아이들이 물을 뜨기 위해 우물가로 모여들었다. 이 우물은 99년 필리핀 정부가 사용금지 명령을 내린 곳이다.



여전히 떠나지 못한 사람들이 오염된 땅에서 밭을 갈고 농작물을 키우고 있다. 바로 인근에는 대규모 한국 농산물 작물 단지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생산되는 야채와 과일 등은 필리핀 각처의 한국 상점과 고급 레스토랑으로 팔려나간다.

▲ 여전히 떠나지 못한 사람들이 오염된 땅에서 밭을 갈고 농작물을 키우고 있다. 바로 인근에는 대규모 한국 농산물 작물 단지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생산되는 야채와 과일 등은 필리핀 각처의 한국 상점과 고급 레스토랑으로 팔려나간다.




끝을 알 수 없는 투쟁

피해의 심각함만큼이나 필리핀 정부와 미국의 책임을 묻는 운동도 활발하다. 그 중심에 서 있는 곳이 '국제 미군기지정화운동 연합' 필리핀 지부와 '미군기지정화 민중운동본부'. '수빅 운동본부'와 '클락 공동행동' 등의 피해자 조직들을 포괄하고 있는 두 단체는 피해자들에 대한 교육과 선전, 의료서비스 등의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해 운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군기지의 실상과 미국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자국 정부와 미국의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운동을 10년 넘게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 99년 7월에는 필리핀 퀘존 시내에서 '클락 독극물 피해자를 위한 행진'을 조직하기도 했으며, 2003년 부시 대통령의 필리핀 방문 때에는 마닐라에서 부시 대통령을 향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법정 안 투쟁도 끊임없는 진행형이다. 2000년에는 수빅 해군기지와 클락 공군기지에 거주했던 120명이 필리핀 정부를 상대로 환경오염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필리핀의 환경정책 관련조항뿐만 아니라 인간환경에 관한 스톡홀름 선언(1972년) 그리고 유엔 리우 환경과 개발선언(1992년) 등에 명시된 '자국의 국민들을 환경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의무'를 국가가 위반했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했다며 필리핀 정부를 대상으로 520억 페소(약 20억원)의 손배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이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소송은 피해자들에게 큰 상처만 남기고 끝났다.

하지만 이들은 물러서지 않았다. 미군기지 운영 당시 기지에서 일했던 미국인 노동자가 당시 미군기지 시설책임을 맡았던 미국인 회사를 상대로 낸 석면중독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했다는 사실을 안 뒤에는 미국 법정에서 그 회사에게 손해배상 청구를 하기로 하고 2004년 현재 1100여 명의 소송단을 모은 상태다. 소송단 모두는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폐에 석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람들이다. 그리고 지금은 유엔인권위원회 청원을 준비중이다.

개인별 피해상황이 담긴 서류들. 이들 서류의 주인들은 이미 대부분 고인이 됐다.

▲ 개인별 피해상황이 담긴 서류들. 이들 서류의 주인들은 이미 대부분 고인이 됐다.



밀라는 거듭

▲ 밀라는 거듭 "한국이 수빅과 클락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기지가 사라진지 15년이 지났지만 미군이 남긴 기름때 찌거기는 아직도 남아있었다.

▲ 기지가 사라진지 15년이 지났지만 미군이 남긴 기름때 찌거기는 아직도 남아있었다.




"한국은 우리의 전철을 절대로 밟지 않길"

미군기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국제적 연대'가 절실하다는 밀라는 "투쟁은 쉽지 않습니다. 의사들은 진단을 회피하고 정부와 미국은 우리의 요구를 묵살합니다. 필리핀의 많은 사람들과 전 세계는 우리를 잊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군이 폐기 방치한 독극물은 벤젠, 톨루엔 등 단순한 발암물질이 아니라 복합적인 증세를 일으키는 것들입니다. 이 치명적인 독극물의 폐해는 몇 세대에 거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이며, 벌써 우리 아이들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투쟁을 멈출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미군철수 이전에도 미군기지에서 장기간 일한 노동자들이 질병을 호소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지만 '미군기지 철수운동'에만 급급해 환경오염 문제 등에 대해 소홀했던 것은 정말 큰 잘못이었다고 후회하는 그는 "한국이 이런 전철을 절대로 밟아서는 안 된다"며 몇 차례나 거듭 강조했다.

수빅과 클락의 피해자들은 절규한다. "왜 미군으로 인한 문제를 우리와 우리 아이들이 책임져야 하냐"고. 그리고 주장한다. "미군기지를 정화하고 피해에 대한 배상을 받는 것은 바로 '정의'를 세우는 일"이라고. 그리고 한국 역시 미군기지 문제가 사회적 화두라는 말에 다시금 강조한다. "한국은 수빅과 클락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