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포명령자, 미국책임 등 규명 안돼
'제주 4·3'에 대한 조명이 한창이다. 특히 올해가 4·3 50주년을 맞는 시점이어서 어느해보다도 활발한 논의와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실상 4·3에 대한 논의가 해금된 것은 87년 6월항쟁 이후. 그전까지 4·3은 이야기하는 것조차 '금기'였고, 탄압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87년 6월항쟁으로 분출된 민주화 열기는 4·3 진실규명작업을 본격화시켰고, 그 작업은 지금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10여 년간의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밝혀진 진실은 아직 일부에 불과하다. "대다수 양민들이 군경토벌대와 우익청년들에 의해 집단학살되었으며, 그 숫자는 3만명 이상으로 추정된다"는 것과 다양한 피해 사례가 확인되었을 뿐이다. 제주도의회가 접수한 피해사례에서도 1만1천6백65명의 피해자 가운데 83%에 해당하는 9천6백74명이 군경토벌대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4·3의 핵심쟁점인 학살의 경위와 책임여부는 여전히 베일에 가려있다. 제주도민과 학계 일부가 꾸준히 당시의 정부자료와 미국측 관련자료의 공개를 요구해 왔지만, 정부가 응하지 않고 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