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인권, 영화를 만나다] 그 남자의 '연애의 목적'

<연애의 목적>을 보고 있노라면 같이 자자고 스토커처럼 애원하고 회유와 협박을 일삼는 극중 이유림의 행태를 어디까지 참고 보아야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 집념을 넘어선 집착은 낭만적이고 간지러운 연애를 그린 그 동안의 영화를 뛰어넘어 연애에 대한 새로운 코드를 보여주겠다던 호언장담에 대한 기대로 어느 정도까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밀고 당기던 그들만의 감정 줄다리기는 이유림에 의해 마지노선을 넘어버리고 비틀대기 시작한다.

<연애의 목적>의 한 장면 [출처] 싸이더스 픽쳐스

▲ <연애의 목적>의 한 장면 [출처] 싸이더스 픽쳐스



물론 여기서 이유림에 대해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며 그가 말하는 연애의 목적을 평가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항간의 주장처럼 누구나 연애의 형태와 목적은 다를 수 있고 그건 각자의 자유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면서 느끼게 되는 문제의식은 '쿨함'과 '솔직함'으로 가장한 채 행해지는 폭력에 관해서이다. 이유림이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욕망에 충실한 관계'란 자신의 성본능을 무분별하게, 때론 폭력적으로 해소하는 것을 의미함을 보여줄 뿐이다.

문제는 수학여행을 떠난 숙소 장면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최홍이 거부의사 표시를 분명히 함에도 불구하고 합의하지 않은 성관계를 밀어붙이는 이유림의 행동은 '성폭력'이라고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그건 그나마 이유림의 머릿속에만 머물러 있었던 욕망과 최홍을 향해 끈질긴 설득작전을 폈던 전반부의 상황(그것이 언어를 통한 성폭력일수도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이 결국 성폭력이라는 방식으로 표출된 것이다. 그것은 더 이상 사적인 것이 아니다.

수학여행 숙소 장면은 그저 '작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고 예사롭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영화의 나머지 부분과 궤를 같이 하기 때문에 불쾌한 에피소드로만 보아 넘길 수가 없다. 성폭행 장면은 이후에 최홍도 원하는 관계로 어물쩍 넘어가며 이유림의 행동을 합리화시키는 결과로 진전된다. 이러한 과정은 쉽사리 납득이 되지 않는다. 명백히 구분을 두어야 할 상황들을 동일하게 다루어버리고 경계를 흐림으로써 보는 이를 불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는 영화의 큰 흐름이 대체로 이유림의 욕망을 따라가고 결국 여성으로 대변되는 최홍의 욕망은 성폭행 사건 후에도 이유림을 받아들이는, 동의하기 어려운 모습을 띄고 있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학교안의 소문이 자신에게만 불리하게 퍼지자 이유림이 교사와 교생이라는 권력을 이용하여 자신을 성폭행했다는 폭로를 하는 최홍의 대응은 정당하고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최홍의 막판뒤집기로 영화는 지극히 남성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는 보수적인 학교 내의 감사와 진상조사를 꼬집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미 애정이 싹트기 시작한 둘의 관계에서 최홍의 폭로로 인해 교사직을 떠나게 되는 이유림은 필요이상의 억울한 일을 당한 입장으로 그려질 뿐이다.

영화는 성폭력에 대한 둔감하고 왜곡된 시각을 담아낸다. 성폭력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관대한 사회 제반의 분위기는 이유림의 행동을 너무나 좋아해서, 혹은 단순히 술 먹고 저지른 실수로 판단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한다. 영화 연애의 목적은 단순한 것 같지만 가장 기본적으로 담보되어야하는 '서로 간의 동의와 합의'라는 부분을 간과하고 성폭력에 관한 기존의 잘못된 통념을 답습한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주목할 점은 영화의 성폭행 묘사와 맞닿아있는 데이트 강간이라는 개념이다. 데이트 강간은 한국사회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성범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 개념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한국의 강간죄와 미국의 강간죄가 보이는 차이와 무관하지 않다. 성관계에 대해 한국은 피해자가 완강히 저항하지 않는 한 합의에 의한 성관계로 보는 반면 미국은 능동적으로 동의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행위는 강간으로 규정한다. 뿐만 아니라 합의를 한 성관계라 하더라도 여성이 어느 순간이라도 중단을 요구하면 응해야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이 역시 강간에 해당된다. 여성의 동의가 온전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자발적인 것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한국사회에서는 스스로 원해서 만난 남자와의 관계가 어떻게 강간일 수 있느냐는 생각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데이트 강간이라는 단어는 낯설기만 하다. 이에 대해서 낸시 깁스는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여성이 남자와 함께 술을 마시거나, 함께 밤길을 걷거나, 심지어 열정적인 키스를 나누고 싶다고 해서, 그녀가 바닥에 억지로 눕혀져 성폭행을 당하고 싶다는 것까지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항변한다.

노출이 심한 옷을 입거나 늦은 시각에 밤거리를 다니는 것이 성범죄를 유발한다는 성범죄 피해자 책임론이나 적극 저항하지 않으면 피해자가 동의한 것으로 본다는 법원판결이 나오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남성중심적인 성의식이 지배적인 한국사회에 지속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필요한 논의를 확대해나가는 것, 이것이 <연애의 목적>이 우리에게 남긴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