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 주]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겠다는 약속은 참사 당일에 벌어진 일을 복기하는 데에 그쳐서는 안 된다. 4.16연대는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을 추진하며 인권으로 4.16을 기억해보자고 제안한다. 기억은 행동이다. 세월호 참사 이전과 달라져야 한다는 열망은, 무엇이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 끊임없이 질문하는 행동이 되어야 한다. <인권오름>과 <프레시안>에 매주 공동 게재되는 연재기사가 하나의 실마리가 되기를 바란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와 함께 온 나라가 슬픔에 가라앉았다. 그 후 1년, 기억은 여전히 잊히지 않은 채 우리의 시간을 지배하고 있지만, 그 기억은 단일하지 않다. 대통령의 가짜 눈물과 언론의 거짓말, 유병언의 의심스러운 죽음과 유언비어가 담긴 문자메시지 같은 것들이 세월호의 진실을 호도해왔고 쓰레기 시행령은 진상규명의 길에 강력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역사의 중요한 순간마다 기억의 패권을 쥔 자들은 기억을 왜곡하거나 은폐함으로써 기억의 국가화 작업을 시도해왔고 주류언론은 그 작업의 선두에 서왔다. 유가족들은 이러한 왜곡과 망각에 맞서 진실을 밝히기 위한 먼 길을 걸어왔다. 416연대 미디어위원회는 그 길을 함께 걷고자 하는 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들은 다큐멘터리 감독들이다. 또한 잊지 않겠다는 약속을 여전히 가슴에 담고 있는 시민들이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거리에서 유가족들과 함께 보내며 캡사이신과 물대포로도 막지 못했던 시민들의 마음을 만났다. 종편을 비롯한 주류언론들은 1주기 추모행사를 폭력이라는 키워드로만 포장했지만 우리들에게는 연대의 시간으로 기억된다. 수많은 시민들이 여전히 잊지 않고 있으니 힘내라는 마음을 전하고 싶어 했다. <바다에서 온 편지 2>는 바로 그 마음을 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주기를 한 달 앞두고 유가족들을 인터뷰했을 때 가족들은 모두들 똑같이 말했다. 우리는 여전히 2014년 4월 16일을 살고 있다고. 사무치는 그리움으로 진실을 알고 싶어 하는 그 마음들은 여전히 간절한데도 정부와 주류언론은 보상금 8억 운운하며 돈 문제만 부각시켰고 포털의 댓글들로만 보자면 유가족들 빼고는 모두들 세월호는 잊고 싶어 하는 것만 같았다. 그래서 <바다에서 온 편지 2>가 필요했다. ‘416시간 광화문행동’의 현장, 4월 16일 연대의 밤, 4월 18일 범국민대회에 참여했던 수많은 시민들에게 두 개의 물음을 공통적으로 던졌다. 1번, 어떤 마음으로 이 자리에 있는지. 2번, 유가족들에게 하고 싶은 말.
눈물로 답을 대신한 이들도 많았지만 잊지 않겠다고, 함께 하고 있다고, 일상적으로 그 마음을 표현할 길이 없었지만 뭐라도 하고 싶어서 이 자리에 나왔다고, 시민들은 말했다. 그 말의 앞과 뒤에 빠짐없이 하는 말들이 있었다. “이상한 사람들이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런 사람들은 아주 적어요.”, “TV에 나오는 말 믿지 마세요. 모두가 가족들을 응원하고 있어요.”
주류언론의 전략은 잘 먹혔다. 나만, 내 친구들만, 내 주변 사람들만 유가족들 편인 것 같다는 착각. 우리 빼고 세상 사람들은 다 주류언론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이젠 지겹다’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는 외로움. 유가족들만 고립된 채 지쳐갈지도 모른다는 안타까움. 그래서 4월 18일의 광장에서 만난 시민 전유정 님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기억을 하고 있구나. 되새겨주고 있구나. 그래서 안심되면서도 더 많은 친구들을 데리고 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라고 말하는 것을 들으며 <바다에서 온 편지 2>가 지금 이 시기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기념일은 왜 필요한가. 새털처럼 많은 날들이 어제와 다르지 않은 일상으로 다가왔다가 과거가 되어 흘러간다. 기념일은 서로 다른 이들의 일상에 공통의 기억을 불러주는 날이다. 각자의 자리에 흩어져있던 마음들이 4월 16일, 같은 장소에 모여 연대의 문화제를 열고 함께 보았다. 그리고 잊지 않고 있다는 마음을 꽃에 담아 희생자들의 영정에 바치려고 했다. 국가권력은 그 길을 가로막았고 유가족들을 광화문 누각 아래 고립시켰다. 그 날, 광화문 누각 아래로 가지 못한 시민들이 노숙을 하고 있는 유가족들에게 함께 하고 있다는 마음을 전하기 위해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밤을 새웠던 시간들. 4월 18일, 유가족들을 만나기 위해 전국에서 모여들었다가 물대포와 캡사이신에 혹사당하면서도 결국 차벽을 무너뜨린 시민들. <바다에서 온 편지 2>에는 그 시간들이 담겨있다.
<바다에서 온 편지 2>를 연출한 김재영 감독의 가편집을 보던 날, 우리 중의 한 사람이 그랬다. “사실 나도 외로웠다”고. 그리고 이 영화가 위로가 되었다고. 김재영 감독은 서울의 2015년 4월 16일부터 18일의 시공간에서만이 아니라, 그 이전과 이후, 대한민국의 전역에서, 세계 곳곳에서 세월호를 기억하는 수많은 이들의 몸짓과 마음을 담았다.
우리들은 다큐멘터리 감독들이다. 다큐멘터리는 누군가의 이야기를 듣는 일이다. 지금 우리에게 그 누군가는 세월호 유가족들이다. 고통의 무게를 견뎌오며 잊을 수 없는 시간을 버티며 지나온 그 시간 안에 진실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우리는 그 이야기를 듣는다. 듣는 일은 그 시간을 함께 겪는 일이다. 그래서 우리도 슬프고 외로웠다. 그 시간을 함께 지나오며 우리가 다짐했던 말이 있다. 세상이 절망적일수록 우리는 늘 새롭게 시작할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같은 질문을 반복하며 우리들은 이 슬픔의 시대를 카메라를 든 채 걷고 있는 중이다.
덧붙임
류미례 님은 416연대 미디어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다큐멘터리 감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