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
깃발 들기의 핵심은 체력이라고 생각했는데… 요령이었다. 체구가 작은 사람도 깃발 들다 보면 나름 요령을 익히게 되더라는 오랜 경험담. 요즘은 물어보지 않고 냅다 깃발 뺏어가는 상황은 없어져서 좋다. 하지만 요령보다 더 중요한 건 쉽게 헐거워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는, 가벼운 깃대…!!!
민선
소위 깃발은 꽂는 게 남는 거라 생각했다. 등산을 즐기진 않지만 이왕 간다면 정상까지 가서 표지석과 사진 찍는 걸 챙기던 습성 같은 것. 생애주기에서 이런 목표가 계속될 순 없음을 알게 되어서일까. 홀로 꽂는 깃발 말고 여럿이 같이 모이는 깃발이 살아가는 순간들에 더 많았으면 좋겠다.
미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많이 불러서 그런지, 깃발을 떠올리면 집회나 행진에서 깃발이 힘차게 펄럭이는 풍경보다 깃발'만' 나부끼는 쓸쓸한 풍경이 더 떠오른다. 애잔하고, 아련하고, 조금은 힘겹고. 노래의 힘은 위대하다.
정록
집회에서 깃발은 누군가와 만날 때 유용하다. 때로는 누가 집회에 함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유심히 보게 되기도 한다. 운동에 중요한 '깃발'을 들고, 그 '깃발'을 보고 함께하는 사람들이 모일 수 있다는 건 뿌듯하고 소중한 경험이다. 그런 마음으로 열심히 살고는 있는데, 잘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해미
“국민이 먼저”란 이유로 난민 반대가 한창일 때, 집마다 꽂혀있는 태극기들을 보면 심란했다. 국기가 나도 모르는 새 나와 남을 가르는 경계선 같았달까. 그 즈음 아라마이아니Arahmaiani라는 인도네시아 여성 작가의 <깃발 프로젝트Flag Project(2006-)>를 알게 됐다. 소외된 집단들이 자기 지역사회의 문제, 자신들에게 중요한 가치를 개념화한 결과물인 형형색색의 깃발‘들’이 나란히 진열된 모습을 보고, 다른 모양새로도 '함께한다'는 의미를 곱씹게 됐다. 때마침 10월 말 부산에서 기후문제에 관심 있는 청소년/청년들과 깃발 퍼포먼스를 할 예정이라는데, 기대된다.
가원
깃발은 저절로 힘이 있다기보단 그 아래 모일 때야 비로소 힘을 갖는 거 같다. 부디 새로 제작한 사랑방 깃발 아래 더 많은 힘이 모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