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오름 > 사람으로 살다

[사람으로 살다] 노동자 - 존재도, 거처도, 관계도, 목소리와 함께 영원히 변하길

노동자, 좌표가 아닌 움직이는 풍경 속 사람으로 살다

[편집인주] 17회 서울인권영화제가 ‘세상에 사람으로 살다’라는 슬로건으로 5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 간 청계광장에서 열린다. 강정, 용산, 그리고 재능농성장과 쌍용차 분향소... 우리 사회의 현 주소를 보여주는 투쟁장소들. 그들은 왜 그곳에서 그토록 오랜 시간 싸우고 있는 걸까. 개발의 이름으로, 이윤의 이름으로 삶터를, 일터를 빼앗으려는 국가와 자본에 대항하여 싸우는 사람들이 곳곳에 있다. 터전이라 함은 단지 물리적인 의미만이 아니다. 자신의 존재, 관계, 역사의 뿌리가 고스란히 뻗어있는 곳이다. 그러하기에 대체될 수 없고, 쉽게 떠날 수 없다. 그러나 장소를 갖지 못한 사람들도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장애인과 성소수자 등 수많은 소수자들은 자신의 존재로 역사를 써나갈 장소를 찾기 위한 투쟁을 하고 있다. 상영관을 대관할 수 없어 거리상영 5년 째, 서울인권영화제가 인권영화관을 세우려는 거리는 어떤 의미일까. 장소를 지키고, 드러내고, 확장하기 위한 투쟁은 그 자체로 세상에 사람으로 살기 위한 외침이다. 그 외침을 들어보자.

"왜? 왜 안 돼! 전직대통령은 되고, 노동자는 안 돼?"
대한문 앞, 사회적 타살이라 일컫는 쌍용자동차 노동자의 죽음을 추모하는 분향소 설치를 저지당하자, 조목조목 똑 부러지게 따져 묻던 그녀가 이 말을 뱉다 울컥했던지 목메 갈라진 소리가 작은 광장에 찌릿찌릿 울렸다. 듣다 보니 되새김질 되는 목소리였다.
무엇인가 당연한 듯 관리하려던 사람은 입술을 달작일 뿐 대답하지 못했고 잠시 후, 외워둔 규칙 서너 개를 늘어놓더니 슬그머니 사라졌다.
단지, 누군가 미천한 존재로 취급당하는 것에 항의하는 것이었을까? 같은 이야기지만, 적어도 내겐, 어느 순간이든 어느 곳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하거나 다른 이들과 마주치는 일 하나하나에 어떤 권력과 질서가 적용되는지, 그 속에서 내가 어떤 행위와 관계를 결정하는지가 드러나는 순간이란 상상이 들었다. 좌표를 두어 길들여지고 스스로 정당화하는 내면화, 세상에서 가장 무서워하는 것 중 하나.

작업장 - 진입, 고립, 추방. 배반의 연속

그곳에 들어서기 위해 깔때기 지나듯 납작 엎드린다. 그리고 거처를 유지하기 위해 분절된 노동, 위계에 침을 꼴깍 삼키는 관계와 다소의 불편, 불공정과 불평등도 감수한다.
흔히, 노동자들의 투쟁은 모진 대우와 탄압을 받거나 작업장으로부터 추방당해 존재가 흔들렸을 때를 중심으로 주목한다. 전쟁 같은 일상들이 즐비한 요즘을 생각하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작업장에서 노동자가 부상당하는 사고가 나자, 라인을 멈춰 작업을 중지시킨 노동자가 회사의 징계에 맞서 '작업중지권'을 두고 싸운다는 이야기는 크게 주목받지 못한다. '자신들이 만들어낸 생산물이 과정이나 결과에서 반사회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할 것인가' 고민하는 노동자의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는다.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을 지역과 다양한 사회문제와 만나 풀어나가려는 이야기, 자신의 노동과 작업장의 짜임새를 스스로 결정하는 일들은 노동조합이 어디 어디에 후원했다는 이야기로 축소되거나, 생산력 향상을 위한 노사화합의 미담(?)으로 그려지기 일쑤이다. 노동자는 이렇게 '사람'들과 분리되며, 작업장의 성벽은 이렇게 시작된다. 그들은 무언가 일이 터졌을 때 외엔 사회에서 결코 없는 이들로 분류된다. 이렇게 시민 000과 노동자 000은 분리되어 존재하게 된다.
이쯤 되면 노동자 스스로 성문에 빗장을 거는 일은 당연하지 않을까. 퇴근할 때 작업복과 함께 작업장 안에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걸어두고 나온다. 노동이 마치 무엇을 팔아 남이 가지고 있던 돈을 얻는 것이라는 끊임없는 긴장의 순간과 서글픔을 두고 오지 않고서는 퇴근 후 평온한 일상이 불편하기도 할 것이고, 또 다른 소비자가 되어 다른 이에게 그런 관계를 되풀이하고 있는 자신을 외면하기에도 적당할 것이다.

"우리는 일하고 싶다", "일터로 돌아가자"라는 구호가 들린다.
‘그렇지, 먹고살려면 일해야지, 일하게 해줘야지’하며 회사의 부당한 처사와 비도덕을 꼬집는 것으로 단순화시키는 것만 보인다면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좋겠다.
"나는, 미세한 갖가지 먼지들을 목구멍과 폐 깊숙이 켜켜이 삼켜야 했던 콜트악기 노동자들이 ‘창 많으면 노동자들 딴생각이 많아진다’는 말을 하는 사장이 있는 컴컴한 공장 안으로 다시 '처박히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들이 존재를 부정당하고 추방당했던 공장에, 모든 이들이 끄덕이며 터주는 길, 용역깡패들에게 내동댕이쳐졌던 공장 정문을 지나 뚜벅뚜벅 걸어가 큰 창과 문을 내고 담을 허물고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며 웃는 순간을 고대한다.
공장을 나와서야 기타를 만드는 노동자들에게 삶의 노래를 돌려주고 싶다는 문화노동자들을 만날 수 있었던 즐거움이 일상이 되고, 또 다른 즐거움을 퍼뜨리는 씨앗이 되길 바라는 건 욕심이 아니리라 믿고 싶다.

점거, 농성, 장기투쟁 - 섬에서 쏴 올리는 사랑노래보다는 함께 앉아 발 담그는 냇가가 좋아졌다

"점거파업하고 있는 동안, 우리가 차 한대, 딱 한대라도 생산해볼 걸 그랬어요."
쌍용자동차 노동자, 그의 말 한마디가 가슴에 와 박혔다.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자아내는 한마디인가 싶어서.

"아오, 이거 좀 봐요. 새로 생산하는 자동차 라인이에요. 우리가 이 와중에도 얼마나 조심하고 있는데 구사대랑 용역이 쳐들어와서 이 꼴 되었어요."
점거 파업 몇십 일째, 어렵사리 들어가 만난 반가운 쌍용차 노동자가 폭력이 있었던 장소를 안내하며 혀를 끌끌 차면서 이야기한다.
'아오, 지금 그게 문제인가요!'라는 말을 차마 하진 못했다. 손해배상을 걱정하는 맘만이 아니라는 게 전해졌기에.
그런 그들이 어느 날, 그 차 한대를 사람들이 보이는 곳으로 끌고 와 손수 태웠다. 시커먼 연기가 피어올랐다. 식량반입, 단전단수, 의료진 출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에 강력히 항의하는 그들의 가슴도 함께 탔으리라.
용역깡패와 경찰은 자유롭게 드나드는 그곳에 노동자들과 함께 살고픈 사람들만 진입하지 못했다. 사유지, 그 배타적 단어 하나에 물병 하나만 들고 들어갔다 오겠다는 이들까지 거부당했다.
본관 옥상에 올라선 노동자들이 정문 건너편 사람들과 윤곽만으로 인사를 나누며 서로를 확인하는 시간, 그들이 볼 수 있는 거리에 '있음'을 안심했고, 그들의 목소리에 조금이라도 더 귀 기울이고 싶어졌다. 국가와 자본이 몸을 불리며 사람들의 좌표를 오그라뜨리는데 그것을 온몸으로 펴내는 그들과 우리가 되고 싶었다.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이 만들어낸 점거파업현장, 그 공간이 가진 수많은 가능성은 그 때문에 국가와 자본에겐 그곳을 소멸시켜야 할 수많은 이유가 되었다.
그곳은 섬이 되어갔다. 거대한 섬이 그들을 삼킬 것만 같았다. 그 섬을 그들은 살아 걸어 나왔다. 우리는 함께 살 터이니 자본 너희들도 해법을 내놓으라 이야기하던 멋진 목소리들을 잠시 접고 나온 것이 억울했지만, 또 다른 내일을 기약할 수 있는 상태로 세상'밖'으로 나올 수 있었던 그들이 고맙고 또 고마웠다.
그런 그들을 잃기 시작해 22번째에 이르렀다.

흔히 '일터에서 쫓겨나 거리로 내몰린' 이라 표현된다. 이 표현의 전복을 꿈꾼다.
자유로운 사람들과 공존의 가치를 무너뜨리는 모든 것을 거부하는 것, 그것에 국가와 자본의 저항이 거세다면 공간을 비틀어 무력하게 만들어버리는 상상 말이다. 그건 때로는 일터라 불리는 곳을 공동의 장소로 전환시키는 일이 될 수도 있고, 반인권적이고 반사회적인 공간은 기꺼이 폐쇄해버리는 것일 수도 있겠다.

작년 한 해, 여름을 뜨겁게 달구었던 한진중공업 85호 크레인에서 들었던 목소리
"나를 살리기 위해 나를 보러 왔다면, 이제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을 만나시길."
그 말이 참 좋았다. 그리고서 더 기쁜 순간을 맛볼 수 있었다. 어렵사리 만난 사람들은 "사람이 죽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 살리고 싶다"뿐 아니라 무엇이 노동자들의 일상을 무너뜨리는지, 어떤 고통을 느끼는지 소통할 수 있었다. 가까이서 눈을 맞추며 서로를 위로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죽음을 무릅쓰고 나서야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던 이들에게 '죽음이 목전에 있는' 위험만을 이야기하지 않고도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이 열린다는 것은 참 놀라웠다. 더욱 기쁜 것은 그렇게 만난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목소리였다. 노동자가 사람으로 살아간다는 것, 그 이유와 함께하는 방법의 가짓수가 끊임없이 늘어갔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은 또 다른 정체성, 또 다른 존재, 또 다른 저항을 깊숙이 이해하는 문을 열어주는 시작인 것만 같았다.
이 이야기가 마치 눈을 마주쳐 보고 나서야 불리길 바라는 대로 부를 수 있는 조건을 습득하더라는 말로 이해되길 바라지 않는다. 오히려 그렇게 만나니 서로의 가슴을 울리는 목소리를 지니게 되더라는 것이다. 거리를 가로질러 서로를 만난다는 것이, 그 짜릿한 공간이 좀 더 쉽게 상상되어 만들어지더라는 것이다.
노동자의 투쟁하면 떠오르는 농성장이 사람들이 서로 만나고 관계 맺고 에너지를 주고받는 곳이 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고민하는 이를 보게 돼서 기쁘다.
퀴어퍼레이드에 함께 하고 싶은데 어찌할까 먼저 묻는 노동자들이 생겨서 기쁘다.

좌표는 필요 없다, 움직이는 풍경이 되고 싶다.

17회 서울인권영화제 셋째날(5.27.일) 노동_생명의 날

경쟁이라는 이름으로 사람은 끝없이 내몰립니다. 자본은 노동의 가치를 절하하고, 생명과 공동체를 파괴하며, 인간성을 상실하게 만듭니다. 자본에 저항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절대 외롭지 않아야 할 그들의 길을 함께 갑니다.

12:00 <기억으로 묶다> 당신과 나의 전쟁 The War between You and Me : the Record on Strike of Ssangyong Motors for 77 days in 2009
태준식| 한국 | 2010 | 다큐 | 85분 | K
2000년대 가장 큰 노동자 투쟁이었던 쌍용차 파업은 전직 대통령의 죽음과 추모 물결, 자본과 국가의 무자비한 폭력, 언론과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서 처절한 패배로 끝났다. 하지만 탐욕으로 가득한 자본은 아직도 또 다른 노동자들을 길들이고 있다. 그래서 이 싸움은 단지 ‘저들’의 투쟁이 아닌 자본을 향한 ‘모든’ 노동자들의 ‘전쟁’이다.

13:40 전설의 여공 : 시다에서 언니되다 My Wonderful Career
박지선 | 한국 | 2011 | 구술다큐 | 75분 | K KS TA
부산에서 여성이자 노동자로 살아온 그녀들이 직접 전하는 생애 다큐멘터리. 1960년~1980년대, ‘공순이‘ 혹은 ’여공‘이라는 이름으로 여성 노동자들은 어린 나이부터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미싱, 먼지 날리는 공장, 잔업과 저임금 등 거친 노동현장 속에서 여성노동자들이 꿈꿨던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

15:40 우리가 원하는 것 Buried in Tears
어속 타파, 박수현 | 한국 | 2012 | 다큐 | 63분 | K KS TA
2003년 11월 15일. 강제 단속과 고용 허가제를 반대하는 이주 노동자들의 농성 중에, 다국적 이주 노동자들로 구성된 밴드 ‘스탑크랙다운’이 결성되어 이주 노동자들이 쉽게 부를 수 있도록 구호를 노래로 만들고 공연을 하며 긴 농성을 함께 이겨낸다. 이후 밴드는 다양한 무대를 찾아다니면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간다. 그러나 2009년 10월 8일, 미등록 상태였던 밴드의 보컬 미누가 단속되면서 밴드는 위기를 맞는다.

17:30 더블스피크 Doublespeak on 4 Rivers
이현정 | 한국 | 2011 | 다큐 | 46분 28초 | K KS TA
많은 전문가, 환경단체 그리고 주민들은 '4대강 살리기'를 표방한 사업은 강과 지천을 죽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죽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4대강 살리기’라는 말은 정부가 국민을 기만하기 위해 만들어 낸 더블스피크(Doublespeak)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거대한 사업의 완공을 앞둔 2011년 여름. 수많은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4대강을 돌며, 강을 진정으로 살리고자 하는 사람들과 함께 4대강의 변화를 기록하고 정리했다.

19:00 오순도순 공부방 Oh-soon-Doh-soon
여백, 넝쿨 | 한국 | 2012 | 다큐 | 91분 | K KS TA
인천시 부평구 청천동에는 오순도순 공부방이 있다. IMF 외환위기 시절, 아이들에게 좀 더 좋은 음식과 맛있는 밥을 먹이고 싶다는 소박한 마음에서 공부방 문을 연 선생님들은 10년이 넘게 공부방에서 아이들을 돌보고 있다. 선생님들은 아이들과 ‘마을’ 사람으로 함께 살아가는 새로운 꿈을 꾸고 있다.

21:00 고용 The Employment
산티아고 보우 그라소 | 아르헨티나 | 2008 | 애니메이션 | 6분
노동의 세계에서 위계 구조란 시작부터 존재해왔다. 이 애니메이션은 경제의 비뚤어진 논리를 아이러니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21:06 컨베이어벨트 위의 건강 Health Factory
호바르 부스트니스 노르웨이 | 2010 | 팩션 | 58분 | E N KS ES
건강 보험 제도는 효율을 꾀하며 산업의 생산 시스템을 모방한다. 그들은 민영 기업이 공기업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주장을 한다. 우리는 과연 효율적 운영이라는 것을 위해 이러한 경쟁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몸부림치며 인간성을 잃어야만 하는가? 영화는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의료 산업화를 진단한다.

상영작언어 K한국어 E영어 A아라비아어 S스페인어 B버마 G독일어 C중국어 D네덜란드어 F프랑스어 Am암하라어 N노르웨이어 Sw스와힐리어
자막 KS한글자막 ES영어자막
장애인 접근권 화 화면해설
TA 관객과의 대화
비디오로 행동하라
덧붙임

기선 님은 인천민주노동자연대와 인권단체연석회의 노동권팀 활동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