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건의 글이 검색되었습니다. 인권오름 > 벼리 (169호) [벼리] 주거권 침해의 사법심사 가능성 왜 세입자들의 주거권을 이야기하지 않는가 ... 제정으로 강제퇴거가 ‘사실상’ 진행되지 않게 되었다. 강제퇴거에 앞서 이주비 지원과 각종 대체주택 마련이 법적으로 보장되었기 때문이다. 강제퇴거의 문제에 있어 법 규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강제퇴거가 최후의 수단임을 인정하는 정부의 태도이다. 영국 정부는 소수의 주민들이 끝까지 퇴거를 ... 글정보 및 첨부파일 최은아, 연정, 미류 2009-09-09 인권키워드강제퇴거, 주거권, 사회권, 권리, 용산, 한국, 주거, 인권, 집, 미국, 사회권규약, 개발, 국가, 대체주택, 지역, 철거민, 가해자, 공권력, 국가인권위원회, 남용, 농성, 뉴스, 대통령, 부작위, 사회주택, 상가, 세입자, 소외, 신문, 용역, 자유권규약, 저항, 정치, 경찰, 이야기, 활동가, 헌법, 상담, 피해 권리 및 집단 주거권/건강권/사회보장권홈리스, 철거민 인권하루소식 > 강제철거|일반 (2882호) 행정대집행법은 누구를 위한 법? 행정대집행 과정의 인권침해와 예방에 관한 토론회 열려 ... 이나 결정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과 기본적 주거권은 재산권보다 우선하므로, 대체주택이 마련되지 않고는 강제철거를 할 수 없다는 것을 모든 개발사업에 적용해야 할 것"이라며 "주거권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로서 당연히 재산권 보다 우선한다라는 모두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글정보 및 첨부파일 정석 2005-08-26 인권키워드경찰, 주거, 단속, 주거권, 무시, 경찰관, 철거민, 권리, 공익, 전기, 국가, 강제퇴거, 국회, 대체주택, 시설, 용역, 저항, 지방자치단체, 질문 권리 및 집단 주거권/건강권/사회보장권홈리스, 철거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