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6일의 약속, 함께 여는 봄
2017년의 봄은 우리에게 어떤 봄으로 기억될까요? 박근혜가 없는 봄, 그러나 여전히 세월호 참사의 고통이 가시지 않는 봄입니다. 세월호 인양 소식과 함께 시작된 세번째 봄, 진실을 밝히고 새로운 사회를 만 [...]
2017년의 봄은 우리에게 어떤 봄으로 기억될까요? 박근혜가 없는 봄, 그러나 여전히 세월호 참사의 고통이 가시지 않는 봄입니다. 세월호 인양 소식과 함께 시작된 세번째 봄, 진실을 밝히고 새로운 사회를 만 [...]
지난 3월 27일은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500일이 되는 날이었다. 2015년 11월 14일 민중총궐기 당시 물대포에 맞아 죽음에 이른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사건에 대응하는 활동들을 사랑방에서도 함께 해왔다 [...]
유성기업에서 일하다 회사의 괴롭힘을 이기지 못해 2016년 3월 17일 노동자 한광호가 목숨을 끊었습니다. 그가 죽어야 했던 이유는 헌법에도 보장된 권리인 노동조합에 가입해 대의원으로 활동했다는 사실 뿐입니 [...]
지난 3월 2일과 3일, 1박2일 일정으로 전국 인권활동가대회에 다녀왔습니다. 1년에 한 번 뿐인 행사이자 전국의 인권활동가들을 다 같이 만나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자리라 대회 때마다 감회가 남다른데요. [...]
목포역에서 택시를 탔다. “세월호 보러 오셨어요?” 기사님의 질문에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난감했다. ‘세월호 보러’라는 말에 내가 구경꾼이 되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목포신항 인근은 도로 통제를 하고 있었다 [...]
나는 자주적인 삶을 살리라고 생각했다.그래서 내가 선택하지 않은 것들을 두 번 씩 생각해보았다.하지만 일상이란 이름 아래 먹고 마시는 것이나 잠을 자고 움직이는 것은 내가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결국 내 [...]
2015년 11월 14일, 그날을 기억합니다. 한 해 쌀농사의 결실로 돌아오는 건 136만원 남짓, 한 달 최저임금밖에 안 되는 현실. 죽음의 선택지 앞에서 국민들과 농민의 밥줄을 포기할 수 없어 나섰던 [...]
세월호 참사 3주기가 다가옵니다.올해도 세월호 인양과 미수습자의 수습, 선체 조사와 보존, 기억을 위한 공간 조성, 새로운 특별조사위 설립 등 수많은 과제들이 우리 앞에 있습니다. 동시에 세월호 참사 이후의 [...]
유력 대선 후보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대표가 2월 13일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의 비공식 면담에서 “동성애나 동성혼을 위해 추가적인 입법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 우리 당 입장이 확실하니까 너무 [...]
2016년 한국 사회는 정말 다이나믹하다 못해 충격적이기까지 한 1년이었고, 그 여파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랑방의 2016년도 그에 못지않은 한 해였습니다. 후원인 여러분께 죄송스런 일도 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