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사랑방 후원하기

인권하루소식

단체탐방 22 한국여성민우회

민우(民友)라는 말에 우선 호기심이 간다. 많은 사람들이 그 뜻을 묻는다고 하는데 여성운동의 역사의 맥, 일제시대의 여성근우회, 80년대 초의 여성평우회의 맥을 잇는다는 의미가 있고 나름대로 해석해본다면 여성민중들이 서로를 벗으로 섬기며 일을 도모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각계각층을 다 포괄하여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했지만 여성단체들이 각기 전문영역을 가지게 되면서 여성민우회도 사무직여성과 주부를 주 회원으로 활동을 하게 되었다. 87년 9월 12일에 창립하여 현재 회원 2천여명, 5개의 지역협의회를 거느린 조직으로 성장하였다. 3인의 공동대표(이경숙, 정강자, 이금라)와 4개부서 16명의 상근자가 활동하고 있는데 지역협의회의 일꾼을 합치면 실무자가 20여명에 이른다.

민우회의 회원들은 “스스로 서는 여성입니다, 생활과 일터의 주인입니다, 환경을 생각합니다, 새 시대를 열어갑니다”는 선언을 당당히 하고 다음과 같은 활동을 펼치고 있다.

첫째, 스스로 서기 위해 자기계발과 사회적 실천을 쉬지 않고 고민한다. 때론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고 때론 목청껏 노래도 부르고 세상아 깨져라하고 풍물도 친다. 지역자치와 주민운동에 간을 하고 양념을 치는 ‘바른 의정을 위한 여성모임’이나 여성의 권리를 가계부에 기록해 가듯 꼼꼼이 챙기는 ‘여성인권모임’등이 있다.

둘째, 생활협동사업과 지역사업이 있다. 환경보호가 있고 나누는 공동체가 있고 민우회에 새살을 붙이는 조직화가 있는 사업이다. 생협은 단순히 좋은 물건을 사고 파는 것을 넘어서서 저공해‧무 농약 생활물자를 함께 나누며 건강과 땅과 농촌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활동이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5가구 이상이 함께 모여 공동체를 형성해야 ‘나눔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체형성을 위한 촉매가 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동체는 물품공급요일에 맞춰 생활을 함께 계획하고 집집마다 돌아가며 모임을 가지고 민우회의 교육.문화 활동에도 참여하게 된다. 41개의 공동체를 가진 노원-도봉 지역협의회, 38개의 공동체를 가진 서대문-은평지역협의회 등 지역조직이 공동체의 성장을 돕는다. 간판뿐인 많은 지역조직들과는 대조적으로 공동체를 중심으로 살림이 꾸려지고 보람이 불어 가는 지역협의회라 할 수 있다.

셋째, ‘평등한 노동 신나는 평생일터’를 위해 달려가는 노력들이다. 여성취업에서 사무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가고 있고 그에 따라 직장에서의 ‘꽃’의 이미지보다는 당당한 ‘일꾼’으로 서있다. 그래서 사무직 여성부에서는 차별임금의 개선과 임시고용 및 신인사제도 등에 대한 연구, 노동조합 내 여성부 활동 강화를 위한 지원과 연대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92년 8월 일본을 방문하여 ‘신인사제도, 고용문제, 성폭력문제’를 주제로 일본여성단체와 공동으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노조 등을 방문한 경험 속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느꼈고 일본을 뒤따라가고 있는 우리의 노동정책을 고려해 볼 때 앞서간 일본의 문제들에서 우리들의 문제를 예방 진단해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활동의 성과들은 계간 「사무직여성」으로 차곡차곡 정리되고 있다. 「사무직여성」은 90년부터 발간되어 현재 15호가 나와있다. 성차별 뿐 아니라 직장내 성폭력 문제 또한 심각한데 최근 우조교 성희롱사건해결을 위한 「서울대조교 성희롱사건 공대위」에 참여하면서 직장내 성희롱 문제를 일상활동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올 하반기에는 성희롱에 대한 책을 발간할 예정이고 노동‧성‧가족문제 등 여성문제 전반에 관한 상담소를 연말 개소할 예정으로 준비하고 있다.

가정, 일터, 지역사회에서의 민우회의 당찬 살림살이는 <사무직 여성의 현실과 운동>, <실천하는 여성, 힘찬 노동조합>, <사무직 여성과 임금>, <임시고용과 노동조합의 나아갈 방향>, <작은 풀에도 이름 있으니>(90년 제작한 16mm영화), <엄마의 세상지혜는 몽땅 네 것이란다> 등 수십 권의 책자로 정리되어 있다. 민우회의 세상사는 지혜를 알고 싶은 분은 언제든지 민우회에서 이런 자료들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 [인권운동사랑방] 류은숙 >